전고체 전지소재 개발 공모 선정

전고체 전지용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구축 사업 위치도 및 조감도[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고체 전지용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구축 사업 위치도 및 조감도[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의 전고체 전지용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구축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충북도는 이차전지 산업 도약의 발판이라고 덧붙였다. 충북도에 따르면 전고체 전지는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가연성 액체에서 불연 혹은 난연성의 고체로 대체한 전지이다. 기존 리튬전지의 안전성과 에너지밀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충북도는 차세대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확보를 위해 전고체 전지의 핵심 소재인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제조지원과 시험분석·성능·평가지원이 목적인 이 사업을 위해 시설을 구축한다.

충북도는 이차전지 개발·제조·분석 및 평가 지원 인프라를 한 지역에 집적화한 BST-ZONE(청주시 오창읍 송대리)에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323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2280㎡, 4층 규모의 시설에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제조 및 성능평가 장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도내 이차전지 기업을 대상으로 차세대전지 소재 ‘개발·제조·평가분석’까지 전주기 지원한다.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최고의 연구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이 사업을 주관한다.

충북도는 자체 연구개발(R&D) 역량이 미흡해 연구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이차전지 기업들에게도 큰 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진형 충북도 과학인재국장은 "이 공모사업 선정으로 충북의 우수한 상용 배터리 산업생태계 기반을 차세대전지 분야까지 확장하는 계기가 돼 충북의 이차전지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