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200만 8000원 ‘최고’… 단양 105만원 ‘최저’

태양광. 아이클릭아트 제공. 
태양광. 아이클릭아트 제공.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지구온난화로 인한 여름철 에너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주택용 태양광 발전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충북지역 일선 시·군의 주택용 태양광 발전설비(3㎾) 설치비 자부담이 2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년 지원되는 국비와 도비 보조금 규모에 따라 시·군이 수요량에 맞춰 지원금을 결정해서다.

16일 충북 11개 시·군에 따르면 올해 충북지역 주택용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비는 532만 9000원에서 550만원 사이다.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가구에 대한 보조금은 일차적으로 정부 예산에 따라 달라진다.

국비 규모에 따라 도비 보조금이, 또 국비와 도비 보조금에 따라 시·군 지원금이, 국비와 도비, 시·군비를 합친 보조금에 따라 자부담이 결정되는 하방향 구조이다.

올해 충북도내에서 자부담이 가장 많은 곳은 충주로 200만 8000원이다.

반면에 단양은 충주보다 95만 8000원이 싼 105만원이다.

올해 국비와 도비 보조규모는 모두 213만원, 60만원으로 모든 시·군이 동일하다.

다만 충주는 보조금 60만원이고, 단양은 2.5배에 달하는 155만 8000원이어서 단양지역 태양광발전 설비 설치 가구의 부담이 현저히 작다.

진천(165만원)과 음성(169만 9000원), 제천(170만원), 괴산·옥천(각각 170만 8000원) 등도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비 자부담이 크지 않다.

이밖에 청주와 보은은 각각 199만 9000원, 증평 199만 6000원, 영동 189만원 등이다. 주택용 3㎾급에서 한 달 평균 260㎾ 정도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시·군 주택용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비 지원사업량은 청주 263가구, 충주 52가구, 제천 211가구, 보은 23가구, 옥천 44가구, 영동 119가구, 증평 10가구, 진천 221가구, 괴산 13가구, 음성 92가구, 단양 26가구 등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시·군 사업량과 국·도비 보조금에 따라 자부담 규모가 결정된다"면서 "이 때문에 시·군 간 자부담 액수가 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