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

영아수당 (PG)[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연합뉴스 제공. 
영아수당 (PG)[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이용민 기자] 충북은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수가 증가세로 전환된 지역이다. 지방 인구 소멸 위기 속에서 반가운 소식이지만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려면 복합적인 정책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충북본부는 14일 발표한 ‘충북지역 출생아 수 증가 전환의 배경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2023년 충북지역 출생아 수의 증가 전환은 기저효과와 인구적, 거시적, 제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면서 “이같은 현상이 지속될 수 있도록 거시적 여건을 개선하는 가운데 제도적 여건을 보완하고 개인의 가치관 변화를 유도하는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충북본부는 주출산 연령대인 25~34세 여성 인구에 주목했다. 2020년 이후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녀 세대인 1991~1995년생이 25~34세 여성 인구로 진입했고 사회적 인구 순 유입도 이뤄지면서 이 연령대 인구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2022년 충북지역 혼인 건수는 6200건으로 2021년 5900건에 비해 5.2% 늘어나며 17개 시·도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결혼가정이 늘어난 덕에 이듬해인 2023년 충북지역 출생아 수는 7600명으로 전년대비 +1.7% 증가 전환됐다.

올해 들어서도 2분기에만 25~34세 여성인구는 515명이 늘었다. 혼인 건수는 1802건으로 전년 동기 혼인 건수 1585건과 비교해 13.7% 상승했다.

인구 요건 외에도 출산지원금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충청북도는 245억원 규모의 출산지원금 정책을 시행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181.3%로 17개 시·도 중 가장 큰 폭이다.

한은 충북본부는 “출생아수 증가를 이어가려면 신성장 산업의 발굴·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완화함으로써 소득 창출뿐만 아니라 여성의 경력단절 축소와 여성 인구 순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용민 기자 lympu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