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현상 그치지 않게 대책 필요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저출생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출생등록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에서 유일하게 충남만 신생아 수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동별 주민등록기준 출생등록 수를 살펴보면 지난 1월부터 지난달까지 신생아 수는 1만 8474명이다.
구체적으로 대전 4889명, 세종 1926명, 충남 6640명, 충북 5019명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충청권에서 충남만 유일하게 신생아 수가 증가했다.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충남의 신생아 수는 6499명으로 올해 약 2%가 증가한 셈이다.
반면 대전은 5078명에서 4889명으로 3.7%(189명) 감소, 세종은 1984명에서 1926명으로 2.9%(58명), 충북은 5269명에서 5019명으로 4.7%(25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지난해 같은 기간 16만 1366명에서 올해 159454명으로 1.1% 감소했다.
이처럼 충청권에서 충남만 신생아 수가 증가한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증가와 주거 문제 개선 등이 복합적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이 기간 충남 아산의 신생아 수가 1308명에서 1455명으로 147명 증가했는데, 아산지역에 탕정과 배방 등 신도시 개발로 양질의 일자리가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기간 출생등록이 248명에서 308명으로 60명 증가한 홍성도 내포신도시 조성 이후 주거 환경 개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충남의 경우 지난 2014년 1만 8370명이던 출생아수가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해 1만명 아래로 떨어진 9586명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올해 8개월 동안의 출생아수 증가세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도 관계자의 설명이다.
충남도에선 2026년까지 합계출산율 1명을 회복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풀케어 돌봄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돌봄 공백 문제 해결, 주거 부담 해소 등을 통해 출산율을 회복하고자 한다"며 "결혼과 출산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바꾸고, 출산과 육아에 대한 성과가 인정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