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대전 내 중대형 상가 공실률 지속적 증가… 소비침체·경기 부진 원인
성심당 콘텐츠로는 해결 역부족… 상권 활성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등 목소리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대전 지역 주요 상권의 빈 상가들이 계속 늘고 있다.

길어진 소비침체로 자영업자들이 버티지 못하고 떠나면서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 모양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대전 내 주요 상권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대형상가는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인 일반건축물을 말한다.

대전 지역 상권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지난해 동기 대비 △복합터미널 21.2%(5.2%↑) △용문·한민시장 8.0%(4.0%↑) △원도심 23.0%(0.6%↑)은 늘어난 수치를 보였으며, 유성온천역은 16.2% 지난해 같은 기간과 보합으로 나타났다.

용문·한민시장 상가 공실률의 경우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대전 전체 지역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5.4%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13.8%)을 웃도는 수치를 보였다.

이렇게 대전 주요 상권들의 공실률이 해소되지 않는 원인으로는 소비 심리 위축, 경기 부진 등의 여파로 소상공인의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전 서구의 공인중개사 A씨는 "소비 위축으로 상가 내 소형 업종들이 버티지 못하고 빠지면서 용문동, 한민시장 인근 상권에 공실이 많아졌다"며 "권리금이 50~70% 빠질 정도로 수요도 줄어든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대전 복합터미널과 원도심의 공실률이 20%를 웃도는 주요 배경으로도 경기 침체를 꼽았다.

오프라인 쇼핑 수요 감소와 함께 소비 심리마저도 떨어져 원도심과 복합터미널의 상가 공실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대전 중구의 공인중개사 B씨는 "은행동 같은 경우 중앙로역 라인을 중심으로 상가 내 점포가 채워져 있지만 나머지 상권은 여전히 빈 곳이 많은 편이다"라며 "은행동의 공실률이 높은 이유가 재개발도 있지만, 임대료 기준으로 봤을 때 상인들이 높은 가격에 버티지 못하고 떠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최근 성심당, 한화이글스 이슈로 인한 유동 인구의 증가로 골목 상권이 활기를 찾을 거란 기대감과 다르게 공실률 해소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대전 상권의 공실률을 해소하고, 상권 활성화를 위해선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비롯한 섬세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장인식 우송정보대 호텔관광과 교수는 "골목 상권의 공실률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디테일한 정책이 필요하다. 공실률은 현상만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인들이 자립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부여의 인큐베이팅 같은 사업처럼 골목 상권 전체가 아닌 점포별로 특색을 살리고, 산학이 협력하는 등 장기적인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