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대전·세종 중대형상가 공실률↑
대전복합터미널 내부서도 매물 나와
고물가·고금리 탓에 못 버티는 상황
세종 2022년 이후 공실률 20% 이상
고객유도시설 부족… 소비 적어 악순환

평일 저녁 대전시 복합터미널 인근 상가 외벽에 철거예정이라는 글자가 곳곳에 써져 있다. 사진=강승구 기자
평일 저녁 대전시 복합터미널 인근 상가 외벽에 철거예정이라는 글자가 곳곳에 써져 있다. 사진=강승구 기자
대전·세종 중대형 상가건물 공실률 및 대전 상권별 중대형 상가 공실률. 그래픽=김연아 기자. 
대전·세종 중대형 상가건물 공실률 및 대전 상권별 중대형 상가 공실률.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경기 침체 장기화 여파로 대전과 세종의 빈 상가들이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고물가·고금리 부담에 소상공인들이 버티지 못하고 상권을 떠나면서 상가 공실률은 계속해서 늘어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30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대전과 세종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전년 동기 대비 모두 늘었다.

중대형상가는 3층 이상, 연면적 330㎡ 초과인 일반건축물을 말한다.

대전 지역 공실률은 17.0%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8% 증가했다.

세종 지역 공실률은 24.8%로 같은 기준으로 3.3% 늘었으며,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대전지역 내 상권 공실률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대전 지역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복합터미널 23.4%(전년 동기 대비 8.8%↑) △노은 18.0% (7.1%) △서대전네거리 12.6% (4.1%) △유성온천 14.6% (1.8%)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늘어난 수치를 보였다.

이렇게 대전 지역의 상권 공실률 증가한 원인으로는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소상공인들이 버티지 못하는 상황이란 분석이 나온다. 대전 동구 공인중개사 A씨는 "복합터미널 상권 같은 경우 상가 공실이 2~3년 전부터 크게 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복합터미널 내부에도 가게가 나올 정도로 상황이 안 좋다"며 "최근 자영업자들이 금리가 높고, 대출을 더 이상 받을 수 없다 보니 버티지 못하고 상권을 떠나는 사람이 늘었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세종시도 상황은 마찬가지. 세종시의 상가 공실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22년 이후 세종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평균 20%를 넘는 수치를 꾸준하게 보일 정도로 공실 문제는 지속돼 왔다.

신도시인 세종시 특성상 자연스럽게 형성된 상권이 아니다 보니, 상권 공실은 부작용으로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상가 공실 문제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고객유도시설이 부족하다 보니 소비가 두텁지 않아 임차계약이 쉽게 성사되지 않고, 임차가 이뤄져도 경기 악화로 가게가 폐업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세종의 공인중개사 B씨는 "나성동 중심 상권 권리금이 예전에는 1억 정도 됐는데, 지금은 3000~4000만원가량 된다"며 "최근 경기가 어렵다 보니 잘 되는 상권도 공실이 늘어나고, 유동인구가 적은 상권은 더 악화하는 현상이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인플레이션이 해소되지 않고, 내수경제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상가 공실률은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창권 대전대 물류통상학과 교수는 "정부는 긴축재정에 들어가고, 고금리·고물가에 실질 소득도 떨어지다 보니 소비심리가 위축돼 상권은 악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며 "유통 구조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인구와 소득 구조도 변화되고 있는 단계다 보니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대전의 상권 상황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수 경제가 회복되지 않으면 소상공인이 버티기가 어려운 만큼, 정부에서 선별적, 직접적 지원 등 재정 지원이 있어야 소비가 회복되면서 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세종시 보람동의 한 상가 외부. 임대문의를 알리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 사진=박현석 기자
세종시 보람동의 한 상가 외부. 임대문의를 알리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 사진=박현석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