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요구로 유사사업 분리발주
특정업체 몰아주기 수년간 독식
청주시 내부지침 무시 제멋대로

청주복지제단 CI. 청주복지재단 홈페이지 제공. 
청주복지제단 CI. 청주복지재단 홈페이지 제공.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청주시 출연기관인 청주복지재단(이하 재단)이 수의계약 과정에서 유사 사업을 분리발주하거나 특정업체에 몰아주는 등 특혜 의혹을 사고 있다.

더욱이 재단은 시 출연기관이라는 점에서 시의 수의계약 가이드라인을 준용해야 하나 이를 무시한 채 제멋대로 수의계약제도를 운용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1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몇 년 동안 재단의 수의계약 현황 분석 결과, 통상 통합계약을 통해 경쟁입찰 방식으로 추진돼야 할 유사 사업을 임의로 분리 발주해 해마다 특정업체에 수의계약을 몰아준 것으로 드러났다.

회계프로그램 계약 과정을 보면 클라우드 서버 구매계약을 분리 발주하고 유지보수계약을 별도로 계약하는 등 통합계약 대신 나눠서 발주하는 방식으로 수의계약을 통해 D업체가 최근 수년 동안 독식하고 있다.

계약률도 대부분 100%로, 해당 업체의 제시 가격을 거의 그대로 적용했다.

홈페이지 유지관리와 웹진 제작 용역 계약도 최근 수년 동안 수의계약을 통해 95% 정도의 계약률로 M업체에 몰아줬다.

복합기나 문서세단기 등 사무용품 대여도 S업체가 최근 수년 동안 수의계약을 통해 수주했으며, 온라인 홍보용역이나 웹포스터 제작 등도 수의계약을 통해 M업체가 수년 동안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보고서 제작 용역도 D업체와 수년 동안 지속해 수의계약을 체결했으며, 인쇄물 계약 역시 수의계약을 통해 다른 D업체에 치우쳐 있다.

홈페이지 관련사업 등도 A업체가 최근 수년 동안 수의계약을 통해 수주하는 등 사실상 특정업체들이 독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청주시는 수의계약 과정에서 일감몰아주기 등 특혜 논란이 지속되자 지난 2015년부터 유사 사업 분리발주를 막기 위한 통합계약제를 비롯해 특정업체 편중 예방을 위한 수의계약 상한제 등 개선지침을 마련, 운영중이다.

그러나 재단은 설립 이후 시의 자체 감사때마다 회계 관련 부정행위가 적발됐음에도 수의계약 등 회계 관련 업무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에 대해 재단 관계자는 "회계프로그램 계약의 경우 해당업체에서 분리발주를 요구, 업무 편의 차원에서 이를 수용했다"며 "이 과정에서 대가 수수 등 부정행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또 "수의계약 과정에서 몇몇 특정업체들의 계약 비중이 높은 것은 해당업체들의 납품 품질 수준이 높기 때문"이라며 "수의계약으로 인한 특혜 논란이 없도록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