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부터 13일까지 수시 원서접수 기간
충청권 의대 정원 810명… 2배 이상 증가
기회 확대돼 N수생 가장 많은 수능 될듯
충청권 국립대 모두 ‘무전공’ 선발 예정

지난 8월 13일 오후 서울 강동구 강동아트센터에서 열린 '2025학년도 강동구 진로진학박람회'에서 참가자들이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 8월 13일 오후 서울 강동구 강동아트센터에서 열린 '2025학년도 강동구 진로진학박람회'에서 참가자들이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2025학년도 대학입학시험전형이 본격적으로 막이 올랐다.

8일 대학가에 따르면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9~13일 진행된다. 수험생은 최대 6개(전문대는 미반영)까지 희망 대학의 학과에 원서를 낼 수 있다.

이후 오는 11월 14일 수능, 12월 6일 성적 발표, 13일까지 수시 합격자 발표, 연말일~내년 1월 3일 정시 원서접수 등 대입 일정이 이어진다.

이번 대입의 가장 중대한 변수는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조정되는 의과대학이다.

정부 의료개혁의 일환으로 3058명이던 전국 의대 정원이 2025학년도 대입에서 4610명으로 대폭 늘었다.

충청권의 경우 충남대와 충북대 등 7개 의대 정원이 기존 421명에서 810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충청권 의대는 정원의 약 70%를 수시에서 선발할 예정으로 정원 외 포함 기준 △충남대 118명 △순천향대 124명 △건양대 88명 △을지대 91명 △충북대 60명 △건국대 글로컬캠 63명 △단국대 천안캠 42명 등이다.

학생과 학부모 모두 선호하는 의대 입학의 기회가 확대되며 이번 대입에선 그 어느 때보다 많은 N수생이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입시업계 종로학원은 오는 11월 수능에 응시하는 N수생이 지난해(17만 7942명)보다 많은 17만 8632명까지 육박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2004년 이후 20년 만에 최대 N수생 규모를 경신하게 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정원 확대에 따른 의대 지원자 수 추이 변화는 의대를 지원하지 않는 상위권 학생에게도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학과와 전공을 선택하지 않고 입학하는 무전공이 대폭 확대하는 점도 2025학년도 대입의 주요 특징이다.

교육부는 올해 대입에서 무전공을 일정 비율 이상 선발하는 국립대와 수도권 사립대에 재정지원 가점을 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밭대(수시 정원 내 470명) △공주대(459명) △충남대(417명) △충북대(300명) △교통대(92명) 등 충청권 국립대(교육대학 제외) 모두 무전공을 신설했다.

재정 지원과 무관한 비수도권 사립대에서도 무전공을 적극 도입하는 모습으로, 대전만 봐도 △한남대(104명) △대전대(98명) △목원대(83명) △우송대(73명) △대전대(30명) 등이 수시로 무전공을 뽑는다.

의대와 무전공은 수험생의 상향 지원을 부추기는 대표 요인인 만큼, 수도권부터 이어지는 대학 서열화, 나아가 지방대의 위기가 2025학년도 대입에서 심화할지 주목된다.

지역 대학 관계자는 “무전공으로 입학한 후 2학년 때 희망 학과로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학과보단 대학 이름값을 보고 원서를 쓰는 경향이 두드러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