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3차례 댐 추진… 의문 목소리 많아
유역면적 보령댐 163㎢보다 많은 193㎢
공주·금산 검토했지만 적합하지 않아
지천댐 가뭄 해소·안정적 물공급 효과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 예정지 충남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 지천댐 건설 예정지 [촬영 한종구 기자] 사진=연합뉴스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 예정지 충남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 지천댐 건설 예정지 [촬영 한종구 기자]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환경부가 지난달 기후대응댐 후보지로 충남 지천을 후보지(안)로 발표한 이후 지역 안팎에선 찬반 논쟁이 뜨겁다.

논쟁 가운데는 ‘굳이 청양에 댐을 건설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이 많이 나오고 있다.

이 지역은 과거 3차례에 걸쳐 댐 건설 추진이 있었던 곳이라는 점에서 정부와 충남도는 왜 지천댐을 고집하는가에 대한 의문인 것이다.

환경부와 충남도는 이에 대해 청양 지천은 풍부한 유량(흐르는 물)과 넓은 유역면적(물이 모아질 수 있는 면적)을 갖추고 있어 충남에서 유일한 댐 건설 가능 지역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청양 지천은 보령댐의 절반 크기에 불과하지만, 유역면적은 193㎢로 보령댐(163㎢)에 비해 넓고, 유량도 풍부한 댐 건설의 최적지"라며 "공주나 금산 등 도내 다른 지역에서 댐 건설을 검토한 적도 있지만 모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됐다"고 말했다.

그동안 댐 건설 후보지로 검토했던 공주 마곡사 일원은 유량이 너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금산 지역의 경우 하천의 물이 대청댐과 용담댐으로 유입되는 등의 이유로 댐 건설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됐다. 청양 지천만이 도내에서는 유일한 댐 건설 가능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청양 지천은 하류에 댐을 건설할 수 있어 상수원보호구역 규제 등에서도 자유로워 댐 건설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청양 지천은 하류 지역 일부만 막고, 취수구 없이 댐을 만들 수도 있어 상수원보호구역을 설정해야 하는 등의 규제도 필요없다"며 "도내에서 청양 지천 이외에 댐 건설이 가능한 곳은 없다"고 말했다.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 관련 찬반 현수막 [촬영 한종구 기자] 사진=연합뉴스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 관련 찬반 현수막 [촬영 한종구 기자] 사진=연합뉴스

환경부는 지난 7월 30일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전국 14곳 중 한 곳으로 청양 지천을 발표하면서 건설의 목적에 대해 가뭄과 홍수 등 극한 기후로 인한 피해를 예방을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안정적인 물공급을 통한 식수 및 산업용수 공급의 역할도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청양 지천을 후보지로 선정한 이유로 "청양 지천에 5900만㎥ 규모의 다목적 댐을 건설하면 하루 약 38만명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충남 서부지역의 고질적 가뭄을 해소하는 등 충남에 안정적 물공급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천댐이 있었다면 2015~2017년 충남 서부지역 가뭄 상황에 청양 지천댐이 있었을 경우 보령댐은 ‘경계’ 단계까지 진입하지 않았을 것으로 분석했다.

또 2022~2024년 집중호우로 지천 제방 유실·붕괴 등 홍수피해도 감소시킬 수 있었을 것으로 정부는 설명하고 있다.

한편 청양 지천은 1991년, 1999년, 2012년 3차례에 걸쳐 댐 건설이 추진됐지만 지역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환경부의 기후대응댐 건설 후보지로 청양 지천이 포함되면서 약 12년 만에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앞선 3차례의 건설 추진 당시와 현재의 상황은 여러 측면에서 많이 달라졌고 댐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다"라며 "지역민과 청양의 미래와 충남의 미래를 함께 논의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기후대응댐 후보지[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후대응댐 후보지[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