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기후대응 댐 후보지에 포함
충남 서부의 고질적 가뭄 해소 목적
산단 조성되면 수요가 공급 앞질러
지천댐 건설 땐 지역 내 여건 변화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속보>=충남의 고질적인 물 부족 위기와 여름철 집중호우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청양 지천댐 건설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9일~12월 19일, ‘충남 물 부족 해법 없나’ 총 9회 보도>
전문가들도 청양 지천댐 건설은 충남의 물 자주권 확보와 최근 반복되고 있는 부여·청양 지역의 집중호우 피해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앞서 지난 7월 30일 환경부는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전국 14곳 중 한 곳으로 청양 지천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청양 지천을 후보지로 선정한 이유로 "댐에서 직접 취수하지 않아 상수원보호규역 등의 규제가 필요 없고, 충남 서부지역의 고질적 가뭄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91년, 1999년, 2012년 3차례에 걸쳐 청양 지역에 댐 건설을 추진하다가 무산된 주요 요인인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등 상류지역 규제문제의 시름을 덜게 된 것이다. 청양군 지천 다목적댐을 건설하면 하루 약 38만명에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청양군에 댐이 있었으면 2016~2017년 충남 서부지역 가뭄 상황에서 보령댐도 가뭄단계에 진입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게 환경부의 입장이다. 실제 청양군을 비롯한 충남은 낮은 물 자급률로 물 부족 우려와 가뭄 위기가 심각한 수준이다.
현재 충남에서 하루 물 공급 가능량은 206만t이 가능하지만 도내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양은 보령댐(28만 5000t, 지방상수도(11만 7000t) 등 19.8% 수준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충북 대청댐(108만t), 아산호(52만 2000t), 전북 용담댐(5만 6000t) 등 외부에서 끌어다 쓰고 있다. 댐 건설 후보지로 선정된 청양도 하루 1만 2000t의 물이 필요한데 자체수원은 2000t에 불과하다.
여기에 2027년까지 대산 그린컴플렉스 등 13개 산단이 조성되면 도내에서 필요한 하루 물 수요량은 210만t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 수요가 공급량을 앞지르기 시작하는 것이다.
전북 용당댐의 계약기간도 2030년 까지로, 이후 전북의 상황에 따라 용담댐 물을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후 2035년까지 천안 미래모빌리티(베이밸리) 등 15개 산단을 추가 조성하면 2035년 도내 하루 물 수요량은 244만t 까지 치솟아 하루 17만 8000t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댐 건설에 평균 10년 정도가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당장 내년부터 청양 지천 댐 건설을 시작해도 충남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장담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충남은 기상청의 가뭄예경보제가 시행된 2016년 3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관심 7개월, 주의 21개월, 경계 20개월 등 전체 92개월 중 48개월(52%)간 가뭄 경보가 발령됐다.
경계 단계였던 2022년 6월에는 서산 대호호의 저수율이 20%대까지 떨어지면서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인 대산공단 내 공장이 가동을 멈출 뻔한 적도 있다.
반면 2022년과 지난해, 올해 청양·부여 지역은 여름철 집중호우로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는 아픔을 겪었다.
가뭄과 홍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목적 댐 건설이 절실한 것이다.
여기에 청양은 인구 3만명선이 붕괴되고 지역 인구 소멸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지역 개발을 위한 신성장 동력 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청양에 지천댐이 건설될 경우 인근 지역 내 산단조성 등의 여건 변화도 기대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충남이 겪고 있는 물 부족과 향후 산업시설 확대에 따른 용수 부족 등을 고려할 때 댐 추가 건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