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 곳곳 화분·타이어로 주차방지
매달 일정 요금 받고 공간 제공 검토
갈등감소·안전확보·대형차 억제 효과
시, 수급실태조사용역 12월경 마무리
요금·배정 등 진통 예상… 도입 불투명
[충청투데이 송휘헌 기자] 청주시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매달 일정요금을 받고 거주자를 우선적으로 주차할 수 있게 하는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이 제도 도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일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의 한 주택가에는 도로변 곳곳에 화분과 타이어를 쌓아 놓은 모습이 쉽게 눈에 띄었다. 이들 화분과 타이어는 건물 앞 주차를 막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모습은 봉명동뿐만 아니라 청주 곳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봉명동에 거주하는 A(46) 씨는 "처음에는 주차금지 고깔이 많이 보였는데 고깔을 치우고 주차를 하는 운전자들이 있어 다툼이 심했다"면서 "이후에 화분이나 타이어 등 옮기기 힘든 것을 놓아두는 이들이 생겨나더니 이젠 주변 건물로 확산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동네를 가도 주차를 막기 위해 화분과 타이어를 놓아두는 것은 기본이고, 심지에 돌이나 시멘트가 담겨있는 깡통, 물통을 놓는 행위도 흔한 일이 된 것 같다"며 "다른 지방자치단체처럼 유료로 운영하더라도 거주자 우선 주차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 의견을 제시했다.
실제 주택가, 도심 등의 주차난 해소를 위해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는 장점과 단점이 명확해 찬반 의견이 많다.
거주자 우선 주자 제도가 도입되면 이웃 간 갈등 감소, 무분별한 골목길 주차 안전 확보, 대형차 주차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 반면 골목길 주차순환 저하, 민원처리로 인한 행정력 소모 등의 단점이 있다.
또 골목길에 10대 정도 주차가 가능했다면 주차면을 그리면 6대 정도로 줄어드는 것도 문제다. 견인 시 견인보관소가 오창에 있는 것도 해결해야 되는 숙제다.
시는 주민 의견 수렴과 용역 등을 진행해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의 의견을 모으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주차수급실태조사 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용역에 거주자 우선 주차 관련 내용도 포함했다. 용역은 오는 12월경 마무리될 예정이다. 또 거주자 우선 주차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면 주민 설명회 등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후 청주시주차장조례 개정을 통해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다.
그러나 주차 요금, 1가구 1주차 배정, 거주지 근처 배정 어려움 등 주민 간 진통이 예상돼 실질적인 제도 도입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앞서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를 도입한 울산광역시, 대전광역시의 경우 전체가 아닌 일부 구만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남 천안시의 경우 제도를 도입했지만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청주시의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으로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의 기반을 만드는 것은 필요하다"며 "먼저 도입한 지자체도 일부만 시행하거나 하지 못하는 등 주민 갈등이 있기 때문에 제도 도입에 맞는 주차장 조성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주시 전체가 아니라 일부 지역은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송휘헌 기자 hhsong@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