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범죄 가능성 예측 ‘데자뷰’ 기술 개발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국내 연구진이 CCTV와 인공지능기술을 더해 범죄의 징후를 미리 파악해 사전 예측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CCTV 영상, 범죄통계정보, 측위정보 등을 분석해 범죄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데자뷰(Dejaview)’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범죄 발생을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ETRI의 데자뷰 기술은 적용 대상 및 방법에 따라 두 가지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시·공간 중심 범죄예측 기술은 특정 장소, 특정 시간대에 어떤 유형의 범죄 발생 위험도가 높은지 분석한다.
ETRI는 서울 서초구와 공동으로 지난 2018년부터 3년간 지역 내 32,656건의 CCTV 사건·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범죄예측지도(PCM)를 개발했는데, 이 PCM은 실시간 범죄 위험도를 화면에 제시한다.
관제사는 범죄예측지도를 통해 현재 지역별 범죄 위험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범죄예측지도의 범죄예측 성능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성능시험 기준 82.8%로 측정되었다.
ETRI는 두 번째 데자뷰 기술로 개인 중심의 재범 예측 기술도 개발했다.
본 기술은 재범 우려가 큰 고위험군 전자감독대상자에 철저히 국한돼 적용되는 기술로 전자감독대상자의 이동 패턴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한다.
현재의 전자감독시스템은 측위정보를 기반으로 이동제한 규정 여부를 판단한다.
기존 시스템에 ETRI의 본 기술이 접목되면 전자감독대상자가 생업 등 사유로 인해 주기적으로 이동제한 규정을 위반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이를 분석, 재범 위험도를 파악해 대응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범죄징후 감지 및 예측 원천기술을 안전서비스에 특화된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또한 연구진은 개발된 데자뷰 기술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 및 관제 기관과 협력하여 치안 현장에 특화된 범죄징후 감지 및 예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고위험군 전자감독대상자의 일탈 행위를 사전에 인지, 대응하는 AI 전자감독 기술 개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본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기반 선제적 위험대응을 위한 예측적 영상보안 핵심기술 개발’로 지난해까지 수행됐다.
또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IITP ICT R&D 25대 우수과제, ETRI 9대 대표성과로 선정된 바 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