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기 의장단 선출로 파행 일단락
시민 신뢰회복·내부갈등 수습 과제
성추행 시의원 징계 문제 해결해야
상임위원장 선출 등 갈등 불씨 남아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의회의 파행 사태가 2주 만에 일단락됐지만,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산적해 있다.
시의회는 시민 신뢰를 회복하고, 내부 갈등을 수습할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다.
시의회는 10일 후반기 의장단을 선출하며 원구성 파행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지난달 26일부터 이어진 임시회에서의 의장 선출 투표는 두 차례나 실패했다.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소장파와 반대파가 정확히 반으로 갈린 결과였다.
국민의힘은 내부 경선을 통해 김선광 의원을 단일 의장 후보로 선출했으나 과반 찬성을 얻지 못해 무산됐다.
상임위원장직을 두고 의원들 간의 합의점이 도출되지 않아 파행에 이르렀고, 서로 세력을 형성하며 물밑 담합이 이뤄졌다.
당내 지침을 어겼다는 이유로 동료 의원을 겨냥한 사퇴 촉구 발언도 이어졌다.
신임 의장단에게는 당내 내홍을 수습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또 성추행 혐의로 피소된 A 시의원의 징계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의장단 선출 과정에서의 파열음은 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윤리특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의회는 열흘 넘게 아무런 징계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다.
앞서 윤리특위가 지난 3일 한 차례 간담회를 열었지만, 세력이 두 쪽으로 갈라져 반목하면서 송 의원 징계 안건을 회부하지 않는 양상이다.
원 구성을 둘러싼 잡음이 상임위원장 선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민의힘은 '의장직에 도전한 의원은 상임위원장에 재도전할 수 없다'는 방침을 세웠으나, 사전 합의가 깨진 만큼 다수 후보가 난립할 가능성이 있다.
조원휘 시의장은 11일 각 상임위원회에 대한 의원 배정을 위해 의원들의 제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각 의원들의 희망을 반영해 상임위 배정안을 마련했으나, 소장파 의원들의 요구가 모두 반영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반대파에서 산업건설위원회와 행정자치위원회를 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기 동안 시의회가 집행부의 거수기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의장 선출 과정에서 의원들 간 극심한 세 대결이 있었고, 이에 따른 감정의 골도 깊다”며 “의원단의 단합과 화합, 원 구성 파행으로 떨어진 시의회의 신뢰도와 위상을 시급히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