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교사·근무자 방학 중 출근 문제 있어
市교육청, 기간제 영양사 채용 등 검토
교원단체 “숙의 안 거쳐” 반대입장 지속
학부모 “교사들, 좋은 정책 반대” 비판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방학 중 아이들에게 따뜻한 밥 한끼 먹이려는 정책을 반대하는 교사들의 모습이 말이 됩니까"
세종시교육청 핵심정책과제에 담긴 ‘방학 중 급식 지원’을 놓고 교원단체가 반대입장을 고수하면서 학부모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현재 초등 저학년들은 방학 중 돌봄교실에서 도시락으로 끼니를 해결하고 있다. 성장기 학생들의 건전한 심신 발달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따뜻한 급식을 제공하겠다는 것인데, 세종교사노동조합은 "숙의 및 준비과정을 거치지 않아 학교 내 갈등을 초래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세종시교육청에 따르면 시교육청 2024년도 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방학 중 급식 지원’ 예산 18억 4000만 원이 반영되면서, 올 겨울방학부터 초등 54개교에 급식이 지원될 계획이다.
최교진 교육감의 주요 공약에 담긴 ‘방학 중 급식 지원’은 올해 초 본격 추진됐다. 최 교육감은 "현재 겨울방학 프로그램 참여 초등학생 비율은 70.4%"라며 "학생들에게 중식을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방학 중 급식 지원’ 소식에 학부모들은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종 학부모·시민단체는 "방학 중 급식은 아이들의 배움과 성장을 중단없이 지원하는 든든한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영양교사와 조리실 근무자 등의 방학 중 출근 문제를 놓고 반대를 샀다. 이에 세종시교육청은 학교 구성원의 편의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세종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영양교사들의 방학 중 출근 문제가 제기돼 그 자리에 기간제 영양사를 채용하고, 급식실의 경우 사회적협동조합 등을 통한 이동급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발 물러선 세종시교육청의 조치에도 교원단체는 반기를 들고 있는 상황.
세종교사노동조합은 성명을 통해 "교육청은 학교가 요구하지 않은 ‘방학 중 아이들의 성장 지원’ 사업 예산을 초등 54개교에 일괄 편성하며 학교 현장에 대혼란을 초래했다"며 "학교 현장의 숙의 및 준비 과정도 제대로 거치지 않고 예산 계획만 먼저 밀어 넣은 것이다. 당장 관련 업무의 담당, 전담 인력 채용 담당, 중식 지원 방법 등을 결정해야 하는 학교에서는 갈등이 초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방학 중 아이들의 성장 지원’ 사업은 학생의 성장보다 학교의 방학 중 중식 지원에 매몰돼 학교를 보육 기관의 역할로 자처하고 있는 셈"이라며 "이는 ‘교육 활동 중심의 학교’를 만들겠다는 교육감의 의지와도 반대된다"고 덧붙였다.
학부모들의 교원단체의 목소리에 반발하고 있다.
세종시의 한 학부모는 "아이들에게 따뜻한 밥 한끼를 먹이려는 좋은 정책을 반대하는 교사들의 모습에 어처구니가 없다"면서 "결국 새로운 업무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 세종시교육청은 관련 예산이 반영된 만큼 사업을 강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공동체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학교가 교육기관이지 언제부터 당연히 식당이였습니까? 그 돌봄 몇명 밥먹이기 위해서 고용인원에 시설점검에 요즘 학생관련 안전문제는 어떻고요. 언제부터 교육기관을 식당에 어린이집 취급인지.
방학 중에 기기나 설비 점검 관리도 하고 노동자 휴가도 보내주고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는데 말만 그럴듯하게 포장하고, 아이들이나 인권이란 말만 끼면 다른 합리적인 주장은 제대로 들어보지도 않고 밀어부치는 이런 정책 없어져야 합니다.
선진국에서 학교급식 제공하는지도 좀 분석해보시죠.
공교육 무너져 가는게 교육보다 온갖 보여주기식 생색내기식 정책 들어와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