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집에서 전문 의료진 치료 받는 서비스
11곳 예산교부 완료 됐음에도 아직 준비 단계

충남도청[충남도 제공]
충남도청[충남도 제공]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이달부터 재가의료 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시행되고 있지만 충남도 일부 시군의 늦장대응에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범실시했던 기존 도내 4곳의 시군 외에 도내 11개 시군은 이미 예산 교부가 완료됐음에도 사업계획서 작성 등 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3일 보건복지부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2019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실시해 온 재가 의료급여 사업을 지난 1일부터 전국으로 확대됐다.

재가 의료사업은 1개월 이상 장기간 입원 후 퇴원하거나 입원 필요성이 낮은 의료급여 수급자가 본인의 집에서 의료, 돌봄, 식사 등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전문가가 직접 가정을 방문해 진료, 간호, 재활 등을 진행해 환자의 이동 불편을 줄여 줌은 물론 안정적인 생활을 통해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고, 사회적으로도 국민건강보험료 지출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연 200만원 한도 내에서 주거환경 개선, 생활·복지용품 지원, 냉난방 지원 등도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에 2019년 전국 13개 시군에서 처음 사업을 시작한 이후, 2021년 38곳, 지난해 73곳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전국으로 사업 범위를 늘린 것이다.

충남의 경우에도 2019년 이후 천안시, 서산시, 청양군, 금산군 등 4곳의 시군에서 재가의료 사업을 시범 실시했다.

하지만 이들 지역외 도내 11곳의 시군은 이미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 확인 등 사업 준비 절차에 그쳐 있다.

지난 5월말 기준 도내 장기입원환자 2383명 중 재가의료 서비스가 가능한 대상자 발굴과 사업 진행을 서둘러야 하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장기입원 환자 중 보호자 등이 퇴원을 반대하는 경우가 많고, 주거지가 불안정한 경우 퇴원 유도에 어려운 점도 있다"며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각 시군과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사업계획서 마련과 대상자 선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