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헌 군수 “반복되는 주민 시름 정부가 덜어줘야 할 때”

괴산댐. 괴산군 제공
괴산댐. 괴산군 제공

[충청투데이 김영 기자] 올해도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충북 괴산군 괴산댐 주변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지난해 여름에 100년에 한 번 내릴 만한 폭우로 괴산댐이 월류되며 400억원이 넘는 큰 재산 피해와 인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장마철을 앞두고 지난달 21일부터 괴산댐 수위를 일반 홍수기 제한수위(134m)에서 4m를 낮춘 130m로 운영 중이다.

이는 지난 3월 환경부와 한강홍수통제소, 충북도, 농림부 등이 참여한 63회 한강수계 댐·보 등의 연계운영협의회(한강수계 협의회)의 결정을 반영한 결과다. 그러면서 지난달 21일부터 9월 20일까지 유람선 운행이 제한되자 산막이옛길 인근 상권 주민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다.

괴산군은 지난해 역대급 수해가 발생한 뒤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공동의장단 회의를 통해 ‘괴산댐 다목적화 추진에 관한 안건’ 상정과 괴산댐 다목적화 전환 관련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며 항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힘을 쏟아왔다.

이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괴산댐 안정화 및 홍수조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용역을 지난 1월 발주해 진행 중인 상황이다. 이 용역에는 댐 안전성 강화를 주목적으로 댐 길이를 기존의 171m에서 100m로 축소해 저수위 128m인 보형식의 소수력발전(1안)과 저수위 133m인 가동보(2안)를 검토했으나 충북도와 군은 비상여수로 설치를 포함한 홍수조절에 대한 건의를 3안으로 포함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최소한 3년 이상의 시간이 더 소요되는 사안이다. 그러다 보니 수해 피해에 대한 주민의 우려와 관광상권 피해에 대한 원성은 최소 수년은 더 반복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홍수조절 능력이 없는 괴산댐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 차원의 해결책 마련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는 이유다.

송인헌 괴산군수는 “수해 후 1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달라진 것은 수해를 복구한 것과 괴산댐 수위를 낮춘 것, 한수원이 댐과 관련한 용역을 진행하는 것 외에는 없다”며 “이제는 정부가 나서 괴산댐의 속도감 있는 후속대책으로 주민들의 시름을 덜어줘야 할 때”라고 호소했다.

김영 기자 ky58@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