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지방세포 변화시켜 살 빼는 방법 제시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식욕억제 등의 방법과 차별된 방법으로 지방세포 탈분화와 대사체계 조절의 핵심적인 호르몬의 증가를 통한 새로운 비만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서재명 교수 연구팀과 생명과학과 임대식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를 통해 대사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세포 생물의 조직인 ‘히포 신호전달체계’의 얍타즈 단백질에 주목해 단백질의 지방세포 관련 기능을 규명했다.
식사 유무에 따라 지방조직 안에 있는 얍타즈 단백질의 활성상태가 변한다는 점, 동 단백질의 활성이 지방조직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한다는 점, 에너지소비 및 포만감을 관장하는 렙틴이라는 호르몬의 생성에 얍타즈가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점을 밝혔다.
연구팀은 생체 내에서 활성화된 얍타즈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라츠1,라츠2 유전자를 생쥐의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결손했다.
지방세포 안에 있는 얍타즈의 지속적인 활성은 지방세포를 지방세포의 전구체, 즉 줄기세포와 같은 세포로 변화시키며 지방조직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지방세포의 압타즈의 활성 증가를 통해 비만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네이처 대사' 지난 5월 29일 자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