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대출 영업 강화 및 운전자금 늘어난 영향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올해 1분기 기업들의 산업대출이 27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의 기업대출 영업 강화와 기업들의 운전자금 수요 증가가 맞물려 1분기 산업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916조 6000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27조원 증가했다.
분기별 산업대출 증가 폭은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2배 가까이 확대됐다.
특히 제조업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분기 말 457조 1000억원에서 올해 1분기 말 469조 4000억원으로 12조 2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중 6000억원 줄었다가 1분기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산업별로 보면, 화학·의료용 제품은 3조 2000억원, 전자·컴퓨터·영상음향·통신은 1조 2000억원, 기타기계·장비 8000억원 등 중심으로 대출이 늘었다.
제조업의 대출 잔액의 증가 폭은 지난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컸다.
서비스업 대출 잔액은 1228조 8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1조원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4조원가량 증가 폭이 확대됐으나, 부동산업의 경우 3조 3000억원으로 증가 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대출 잔액은 건물 건설 증가 등에 따라 105조 4000억원으로 직전 분기 말보다 2조 1000억원 증가했다.
대출 용도별로는 1분기 운전자금이 14조 7000억원, 시설자금이 12조 3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금융업권에 따라 대출을 나눠보면 예금은행의 1분기 증가 폭은 25조 7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16조 9000억원 보다 커졌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경우 지난해 4분기 3조 1000억원 줄었다가 올해 1분기 1조 3000억원 늘어 증가로 전환했다.
서정석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전체 사업 대출금 증가 배경은 예금은행 중심으로 기업대출 영업이 강화됐다”며 “기업의 운전자금 수요가 더해진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중 제조업 대출 증가 폭 확대에 대해서는 "지난해 4분기 기업들이 부채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적으로 대출을 상환했다"며 "올해 1분기에는 기업들의 운전자금이 늘어나는 계절적 요인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