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수신·아산 인주 등 대상지 선정
道 산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2026년 경제자유구역청 출범 계획

베이밸리 메가시티. 충남도 제공
베이밸리 메가시티. 충남도 제공

[충청투데이 나운규 기자] 충남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충남경제자유구역 대상지가 확정됐다.

천안·아산·서산·당진 등 4개 시 5개 지구 총 15.14㎢ 규모로,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2030년까지 총사업비 3조 4575억원이 투입된다.

충남경제자유구역은 충남도와 경기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사업의 핵심으로, 국내외 글로벌 기업을 유치해 미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의 경제산업수도를 만들겠다는 구상이 담겼다.

도는 지난해 실시한 경제자유구역 타당성 조사 및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기반으로 △천안 수신 △아산 인주·둔포 △서산 지곡 △당진 송산 등 5개 지구를 대상지로 선정했다.

우선 1.59㎢ 규모인 천안 수신지구는 광역 교통 연계가 우수하고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인접해 신기술 개발이 용이한 점을 감안, 미래모빌리티를 중점 산업으로 꼽았다.

아산 인주지구는 5.71㎢ 면적에 디스플레이를, 둔포지구는 4.09㎢에 AI·반도체를 중점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으로, 인접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집적지와 천안 국가산업단지·아산 테크노밸리 등을 고려했다.

1.84㎢ 규모의 서산 지곡지구는 2차전지 소재·부품과 자동차 부품산업 집적지인 점 등을 감안했고, 당진 송산지구(1.91㎢)는 현대제철과 인접해 수소산업 육성에 유리한 입지 여건을 고려해 수소융복합을 중점 산업이 제시됐다.

지난해 시작된 경제자유구역 사업은 2030년까지 총사업비 3조 4575억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도는 이달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또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고시되면 2026년 1월 경제자유구역청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고효열 도 균형발전국장은 "베이밸리 핵심 사업 중 하나인 충남경제자유구역은 탁월한 입지 여건에 따라 국내외 우수 기업을 끌어들이며 대한민국 미래 산업을 이끄는 중심 축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라며 "계획대로 대상지 전체가 지정 및 개발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제자유구역은 외국 투자 기업 및 국내 복귀 기업의 경영 환경과 외국인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해 조성된 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개발 사업 시행자는 법인세, 소득세, 재산세 등 조세를 감면받고, 개발부담금과 농지보전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과 조성비를 감면받거나 부과를 면제받는다.

그동안 국내에선 9개 구역(11개 시도) 98개 지구가 지정됐으며 충남은 2008년 황해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됐다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른 투자 유치 어려움 등으로 2014년 해제됐다.

나운규 기자 sendm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