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처분가능소득 증가율 크게 웃돌아
자영업자, 식자재값 급등에도 가격 인상 어려움
고물가 취약계층에 직격탄… 서민가계 더 ‘팍팍’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먹거리 물가가 소득보다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이 빠듯해졌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처분가능소득보다 물가 상승률이 높다 보니 소비자와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커지는 모양새다.
27일 국가통계포털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월평균 404만 6185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개인소득에서 세금, 이자 비용 등을 뺀 돈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처분가능소득은 전년 대비 소폭 늘었지만, 외식과 가공식품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뛰어넘지 못했다.
올해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 가공식품은 2.2%로 처분가능소득보다 각각 2.8배, 1.6배 높았다.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하면서 물가는 계속해서 올랐지만, 소득은 적게 오르다 보니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더욱 어려워졌다.
대전 서구의 자영업자 김 모(72)씨는 “식자재가 100% 가까이 올랐는데, 메뉴 가격을 쉽게 올리지 못하다 보니 매출이 오르는 걸 기대하기 어렵다”라며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 혼자 일하면서 버티고 있지만, 최근 매출도 적다 보니 소득이 더 줄어든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렇듯 물가 상승의 여파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의 소득에 직격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서도 1분기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이 번 사업소득은 87만 5000원으로 지난해보다 8.9% 올랐다.
사업소득은 총수입액에서 인건비, 재료비, 임대료, 전기료 등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하지만 소득 분위별 가계수지를 보면 1분위 사업소득은 월평균 10만 2000원으로 1년 전보다 3.6% 줄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2분위(49만 4000원)는 3.9% △3분위(85만 2000원)는 19.6% △4분위(118만 5000원)는 16.3% △5분위(174만 3000원)는 2.3% 사업소득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올랐다.
고물가 상승의 여파가 취약계층부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안정되기 전까지 취약계층을 위한 선별 지원 제도 등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준일 목원대 금융경제학과 교수는 “실물 자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인플레이션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우리 지역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취약 계층을 위한 선별적인 지원이나 모니터링 강화 등 인플레이션이 해소되기 전까지 현실적인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