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충청투데이 공동기획] 세종시-행정수도 완성 챌린지 인터뷰
국가균형발전·지역 경제발전 촉진 필요
기술 연구·개발 지원 정책 등 필요성 강조

오득창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장
오득창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장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오득창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지속가능한 혁신 창업 생태계가 마련돼야 한다"며 "탄탄한 창업 생태계 조성이야말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 경제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세종시의 미래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오 센터장은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기술 연구·개발 활동과 창업 환경 개선에 대한 지원 정책, R&D 시설 확충, 네트워킹 공간 마련 등 기업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며, 지리적 집적성를 바탕으로 산업의 클러스터화가 추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중장기적으로 창업 환경 개선을 위한 촉진법이 필요하다"면서 "창업집적시설 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 전담기관 지정, 기업·연구기관의 기술혁신활동 촉진을 위한 재원 수립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전했다.

오 센터장은 ‘공동 창조생태계 순환 모델’ 구현을 위한 센터의 운영 혁신을 진행 중이다. 세종시에는 신성장·신기술 기반 동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게 오 센터장의 통찰.

그는 "새로운 플랫폼 차원에서의 혁신가치 확장을 추구해야 한다"며 "혁신성장 모델링으로 오픈이노베이션 선순환 클러스터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오 센터장은 "취임 직후 세종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 ‘Bridge ON’을 새로이 단장해 기술혁신 성과 창출 확산을 지속하고 있다"며 "Bridge ON은 미래산업, 소부장, 바이오, 플랫폼 등 기술창업기업 대상으로 대·중견기업(SKT, 네이버 클라우드, 호반건설, 조광페인트 등) 연계를 통한 기술검증(PoC), 국내외 투자사 IR 및 밋업, 기관(업) 간 네트워크 등 협업 프로그램을 확대 지원하는 신설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중견기업과 벤처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기술사업의 영역과 투자규모를 확장하고, 세종시 육성 중점 기술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고도화를 끌어내는 중이다.

오 센터장은 "세종시는 ‘젊은 도시 세종’의 이미지를 잘 활용 한다면 청년 친화적 도시로의 성장 가능성도 충분하다"면서 "이를 위해 기술 중심의 창업기업 뿐만 아니라 지역의 고유 자원과 직역 콘텐츠를 활용한 라이프 스타일 기업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는 창의적인 라이프 스타일 창업가의 기업형 성장을 돕기 위한 혁신 공간인 ‘라이콘타운 전국1호점’ 운영이다. 이를 기반으로 신생 로컬기업들의 성장육성을 돕기 위한 지원들을 확장할 계획이다.

오 센터장은 "세종시는 스타트업 문화를 선도하고 스타트업 친화도시로 거듭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며 "세종센터가 지역창업기업의 스케일업 선순환 체계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대·중견기업 협력기반을 견고히해 보다 빠른 속도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앞장 서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이어 "앞으로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창조경제 산업 육성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국가·지자체 정책·전략 수행에 기민하고 유연한 조직으로 거듭나도록 혁신을 거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