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 초반대에서 추세적 둔화 예상…내년 말 2% 근접할 듯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내년 하반기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경제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이달 3.3% 수준에서 소폭 낮아진 뒤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 말에는 2% 부근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는 유가와 농산물 가격의 하락이 지목된다.

실제 11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당폭 둔화했다.

다만 한은은 이러한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국제유가의 재상승, 기상이변으로 인한 국제 식량 가격 상승, 그리고 누적된 비용 압력의 파급 효과가 물가 안정의 주요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내년 상·하반기, 2025년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각각 3.0%, 2.3%, 2.1%로 제시했다.

이 중 근원물가 상승률(에너지·식료품 제외)은 각각 2.6%, 2.1%, 2.0%로 전망된다. 한은은 근원물가 둔화 흐름이 주요국 대비 뚜렷하지 않다는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주류, 대중교통 요금, 여행·숙박 등 개인서비스 항목의 상승세가 둔화되지 않고 있어 인플레이션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다.

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은 산유국 협의체인 OPEC+의 추가 감산과 지정학적 정세 불안이 있다.

국제유가 상승을 촉발할 수 있고, 기상이변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정부의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유류세 인하 폭 축소 같은 정책 변화도 물가 둔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역 경제단체 관계자는 “물가 상승률 둔화는 경제 안정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며 “다만, 대내외 여건이 여전히 불안한 상황인만큼 에너지와 식료품 같은 필수 소비재의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보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제공
장보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