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국립의대 이제는 만들어야 <3> 충남에서 일할 의사 절실
尹 대통령 약속 ‘지역 의과대학 신설·내포권 대학병원 설치’ 지켜야
곳곳서 “충남 의사, 충남에서 키워야”·“의료전달체계 부실” 목소리
충남도의원 28명 국립의대 신설 촉구 건의안 공동발의 나서기도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충남의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충남 국립의대 신설 및 부속병원 설립’을 더는 미루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에서 커지고 있다.
정부가 18년째 3058명으로 동결돼 있는 전국 의대 정원을 확대하려는 이 시점에,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한 ‘지역 의과대학 신설 및 내포권 대학병원 설치’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 확대를 적용하기 위해 기존 의대를 중심으로 우선 고려하고, 지역 의대 신설도 계속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수·지역 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한 증원인 만큼, 최소한 충남에는 지역 여건을 감안해 국립의대 신설이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충남은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국립의대와 그 부속병원이 모두 없는 지역이다.
국립의대는 전남과 경북에도 없고 부속병원은 인천과 울산에도 없지만, 두 곳이 모두 부재한 것은 충남뿐이다.
이같은 의료 거점이 없는 결과 충남은 도내에 권역 책임의료기관이 지정돼 있지 않고,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도 지난 6월 기준 1.55명으로 전국(2.23명)에서 3번째로 부족하다.
취약한 의료 현실을 개선하는 것이 충남의 염원이기에,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인 지난해 2월 내포신도시를 찾아 "충남의 건강과 보건을 책임질 국립대학 부속병원이 반드시 들어서게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후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도 같은해 4월 충남지역 15대 정책과제 중 하나로 ‘지역 의과대학 신설 및 내포권 대학병원 유치’를 발표했다.
즉 정부도 충남의 열악한 의료 인프라를 모르지 않는 만큼,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할 때 충남 국립의대 신설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주열 남서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충남의 의사를 충남에서 키워야 한다"며 "국립의대 신설, 지역인재 선발 비율 확대 등을 지자체가 정부에 강력히 요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준동 공주대 응급구조학과 교수도 "충남은 급성심근경색환자의 전원율이 전국 최하위 수준일 정도로 지역 내 의료전달체계가 부실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립대학병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의회 의원 28명도 26일 ‘충남 국립의대 신설 촉구 건의안’을 공동발의하며 "지역 의료 격차 해소와 공공의료 기반 강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충남 내 유일한 국립대인 공주대는 충남도, 예산군 등과 공동 대응해 충남 서해안권에 국립의대 설치를 실현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주대 관계자는 "도와 군, 대학 모두 의대 설치의 의지가 강하다"며 "충남, 특히 서해안권 의료 인프라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도민의 의료 확충 열망에 실현될 수 있도록 ‘의대정원확대 범도민 추진위원회’를 결성하는 등 총력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끝>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