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연 7곳 공동 소유해 활용 난항
교류·협력 통한 공적 개발안 찾아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10여년 동안 제자리 걸음만 했던 대덕 공동관리아파트 부지 개발이 현실화 된 데는 대덕특구 50주년 이라는 상징성 아래 관계 기관들이 뜻을 모은 성과로 풀이된다.
그동안 공동관리아파트 부지 활용을 두고 민간 매각, 아파트 건립 등이 추진되기도 했지만 시행사의 법적 분쟁 혹은 과학계의 반발 등으로 난항을 겪어왔다.
게다가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기기관 7곳에서 공동 소유하고 있다는 점도 부지 활용 방안 마련에 걸림돌로 작용한 요소 중 하나다.
의견 수렴이 쉽지 않기 때문인데, 2004년과 2006년 이들 기관이 매각을 추진하다 의견 불일치로 성사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주요 기관별 지분 비율은 한국원자력연구원 26.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4%, 한국화학연구원 17.4%, 한국기계연구원 14.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0% 등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2020년 ‘출연(연) 공동관리아파트 부지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기본구상 수립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당시 연구에서는 부지 리뉴얼을 통해 국책연구원이 축적한 과학기술 성과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고도화·전문화되는 과학기술 각 분야의 교류·협력의 장을 제공하는 방향에서 검토됐다.
다만 지난해 NST 대덕특구 융복합·혁신 큐브 기획단은 외부 용역을 통해 공동관리아파트 활용안을 도출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대상 신청 절차를 밟았지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후 대덕특구 50주년을 맞는 올해 대전시와 NST, 부지 소유 기관 등으로 TF가 구성됐고, 공적 개발을 통해 공동관리아파트를 특구의 상징적 공간으로 재창조시키겠다는 데 뜻을 모았다.
또 회의 과정에서 개발 방식은 기존 재건축 사업에서 도시개발 사업으로 선회했다.
시 관계자는 "NST를 중심으로 국비 지원 사업 신청 등 다양한 방안이 나왔지만 사업 추진이 어려웠다"며 "이번에는 대전시와 NST, 7개 출연연이 긴밀하게 협업, 해결 방안을 도출해 냈다"고 밝혔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