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50주년 이제는 바뀔 때]
대덕과학문화센터, 매각 결정됐지만 입찰 과정 문제로 파열음
공동관리아파트, 주거·창업 공간 등 공적 활용시설 조성 밑그림
지자체-각 소유기관 토지매매 근거 없어… 규정 정비 선결돼야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수 년동안 애물단지로 방치된 ‘공동관리아파트’와 ‘대덕과학문화센터’가 특구 50주년을 맞은 올해 새 활용방안을 찾았다.
대덕특구 관문에 위치한 두 상징적인 장소가 변화를 예고했는데 이와 함께 선행 과제로 떠오르면서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27일 대덕특구 과학기술계 등에 따르면 대덕과학문화센터는 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가 복지시설로 1993년 건립, 이후 10년간 호텔롯데대덕이 임대로 사용하다 2003년 목원대 법인이 인수했다. 당시 개교 50주년을 맞아 학생들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상업지구로 묶여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민간에 건물 매각 절차를 밟았다.
이후 사업자의 잔금 미지급 등으로 지리한 소송이 이어지다 지난해 11월 교육부로부터 매각 승인을 받았다.
목원대는 매각추진위를 구성하고 두 차례에 걸친 유찰 끝 공개경쟁 입찰을 통해 지난 7월 920억원에 한국토지신탁에 매각이 결정됐다. 십수년간의 잡음 끝에 일단락될 듯한 대덕과학문화센터는 최근 입찰과정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다시 파열음을 내고 있다.
위탁자가 신탁업체를 통해 부동산을 매입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다. 이 때문에 대덕과학문화센터의 재탄생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공동관리 아파트 역시 새로운 활용방안을 모색했지만 선결과제에 봉착한 상황이다.
공동관리아파트는 2012년 노후화로 퇴거조치되면서 그동안 마땅한 사용방법을 찾지 못한 채 흉물로 방치됐다.
2001년부터는 재건축 논의도 지속적으로 나왔지만 실제 개발로 이어지지 않았다.
공동관리아파트 출연연 등 7개 기관이 소유하고 있고 이중 국가과학기술연구소(NST) 소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6%로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수많은 지분관계와 상위 부 처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히면서 그동안 부지 재활용 방안이 공전을 반복해왔다.
그러던 중 대전시의 연구용역 결과로 공동관리아파트는 연구·창업·전시·교류 기능을 겸비한 개방형 과학기술 혁신공간인 ‘대덕특구 오픈 사이언스 큐브’로 탈바꿈 시도를 했지만 지난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지 못해 좌초된 바 있다.
대전시와 소유기관들은 대덕특구 50주년을 맞은 올해 초, 절치부심으로 공동관리아파트를 주거·창업 공간 등 공적 활용시설을 조성하는 것으로 밑그림을 그렸다.
시와 소유기관들은 지난 1월 첫 TF회의를 갖고 활용방안에 머리를 맞댄 결과다.
이어 현재까지 논의된 구상안은 시가 해당 부지를 매입하고 그 돈으로 소유기관이 일부 부지에 정주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이다. 문제는 이 같은 해당 규정에 대한 정비가 우선 선결돼야 한다는 점이다.
공공기관과 지자체 간 토지 매매는 가능하지만 각 소유기관의 근거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NST 등 소유기관들과 공적활용을 위한 MOU체결을 준비중으로 내달 중 체결을 진행할 계획이다"며 "각 소유기관과 토지매매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