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회의장. 사진=연합뉴스.
국회 본회의장. 사진=연합뉴스.

6일간의 모처럼 긴 추석연휴가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왔다. 여야 정치인들은 귀향활동을 통해 지역의 민심을 소상히 경청했을 줄 안다. 우리나라는 3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일 정도로 나홀로 가구가 많다. 그래도 명절 때면 멀리 떨어진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차례를 지낸다. 명절은 가족이 만나는 날이자 정보교류를 하는 장이다. 그래서 정치권은 명절연휴를 민심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로 꼽는다. 추석 민심은 6개월 여 앞으로 다가온 22대 총선의 가늠자다. 여야가 추석 민심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

명절 민심은 정치권에 대한 회초리와 민생문제로 모아진다. 대전의 한 국회의원은 시민들을 만나보니 국회에 대한 혐오심이 극에 달했다고 전했다. 그럴 만도 하다. 나랏일은 제쳐두고 허구한 날 정쟁만 일삼는데 곱게 볼 리가 없다. 여야는 추석연휴 전날까지 한덕수 총리의 해임건의안 가결,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 등을 놓고 극한 대치상황을 연출했다. 각종 입법을 놓고도 거대야당은 입법폭주를, 여당은 합리적 대안을 제지하지 못했다. 정치는 실종되고 술수만 남았다. 그 틈에 죽어나는 건 국민들이다.

국회의 방기로 지역현안이 줄줄이 표류하고 있다.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안이 가까스로 법사위 전체회의 통과 후 본회의에 상정됐으나 정작 본회의가 열리지 않아 좌절되고 말았다. 대전 역세권 개발을 골자로 한 도심융합특구 특별법 제정이 지연되는 바람에 후속 절차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국회에 산더미처럼 쌓인 민생법안은 나 몰라라 하고 서로 네 탓 공방만 벌인다.

정치권의 민생 실종에 시민들이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월급은 제자리인데 고물가, 고금에 허덕이고 있다. 전세사기를 당한 세입자들이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 시민들의 피부에 가장 와 닿는 게 먹고사는 문제다. 다음 달 국정감사에 이어 연말이면 총선정국 모드로 들어선다. 이를 구실로 민생을 내팽개쳐선 곤란하다. 추석 민심을 제대로 읽기 바란다. 민심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배를 뒤엎기도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