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발주·주민설명회 실시하며 사활… 지역 맞춤형 정책 발굴 나서

충남 공주의 구시가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충남 공주의 구시가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S등급 선정 시 최대 144억 원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에 전국 107개 지자체가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107곳 중 절반인 53곳은 최하위 등급에 들어갈 수밖에 없어 상위권 경쟁이 한층 심화되는 양상이다.

때문에 인구감소지역 및 관심지역으로 선정된 충청권 18개 기초지자체도 그동안 ‘S등급’ 확보를 위한 기금사업 경쟁력 확보에 공을 들여왔다.

각 지자체는 용역발주,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지역의 실정에 적합한 정책 발굴했다.

광역지자체에서의 뒷받침도 이어지고 있다. 충남도는 지난 5월부터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작성 컨설팅’을 진행, 도내 인구감소지역 9곳의 투자계획 수립을 지원했다.

충북도는 지난해 발주한 ‘제1차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 및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수립용역’을 통해 기초지자체에 배분되는 기초계정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기초지자체들도 올해 평가에서 S등급 선정을 목표로 계획 수립에 더욱 열을 올렸다. 지난해 최하등급인 E등급을 받았던 충남 예산군은 △구도심활성화 △예당호 주변 관광활성화 △주민복지 등 세 가지 분야의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예산군 관계자는 "충남도의 전문가 컨설팅 도움도 받고 부서별 회의와 인구감소대응위원회 자문 등을 거쳐 사업을 선정했다"며 "생활인구 및 정주인구의 유입, 기존주민들을 위한 복지혜택 제공 등 초점을 뒀다"라고 설명했다.

B등급을 받은 충북 옥천군은 청년인구를 타깃으로 한 주거·일자리 정책으로 S등급 선정과 함께 정주·생활인구 증가를 겨냥했다.

대전에서는 관심지역에 선정된 원도심 3개 자치구(동구·중구·대덕구)가 S등급을 놓고 경쟁에 펼치고 있다.

직전 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동구는 30~40대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보육·교육 인프라 개선에 무게를 실었다.

같은 등급을 받은 중구도 △청년 일자리 창출 △정주환경 개선 △생활인구 유입을 겨냥한 세 가지 전략 사업을 발굴했다.

지난해 최하등급을 받은 대덕구는 청년·생활인구 유입을 겨냥한 △대청호 일원 문화·여가 인프라 조성사업 △신탄진권역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 S등급 선정에 도전한다.

대덕구 관계자는 "인구위원회와 민간협의체를 통해 지역의 목소리를 듣고 내부 회의를 통해 사업계획을 결정했다"며 "올해는 지역을 방문하는 인구를 늘리는 데 중점을 뒀으며 장기적인으로 정주인구 유입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