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충청지방통계청이 4일 발표한 충청지역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전달과 비슷한 2%대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이 2%대를 기록한 것은 2021년 9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충청권 평균 소비자물가지수는 111.50으로 작년 동월보다 2.3% 올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대전은 2.5%, 세종 2.0%, 충북 2.6%, 충남 2.2% 상승하며 충청권 4개 광역시도 전국 평균인 상승률인 2.7%보다 낮았다.

통계만 놓고 보면 갈수록 물가상승률이 낮아지곤 있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선 피부로 체감하기 어렵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와 현재 지표상 물가가 만들어내는 기저효과가 작용해 괴리가 생긴 탓이다.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물가의 비교 기간이 1년 전임을 감안하면 아무리 통계상 수치가 떨어졌다고 한들 지난해 5~6%대로 이미 물가가 크게 올랐던 상황에서 현실적인 하락을 체감하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소비자들이 물가하락을 체감할 수 없는 이유는 또 있다. 최근 몇 개월간 물가하락을 이끌었던 품목이 바로 석유류인데, 지난 5월 18% 하락에 이어 이번 달에도 무려 25.4%나 가격이 떨어졌다. 실제 이달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과 비교해 0.6%p 떨어졌고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지수 하락 폭에 기여한 정도가 75%에 이른다고 한다. 이 정도면 다른 소비자 품목의 가격은 사실상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상승했다고 볼 수밖에 없을 정도다.

문제는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이는 근원물가가 여전히 4% 상승을 유지하고 서민 체감이 가장 큰 전기나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폭이 25%대로 여전히 높다는 데 있다. 이미 한 차례 오른 공공요금은 연말을 앞두고 또다시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물가하락을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정책이 요원한 실정이다. 얼마 전부터 정부는 특정 품목에 대해 인위적 가격통제에 나서고 있지만 이는 임시변통에 불과하다는 점을 명심하고 근원적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