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종·충북 갈등 우려… 조심스러운 분위기
정치권 관계자 "세종의사당 진척 이뤄져야 속도"

세종시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부지 전경. 사진=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세종시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부지 전경. 사진=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의 최대 숙원이자,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인 ‘KTX 세종역’(이하 세종역)이 여전히 안갯속이다. 최민호 세종시장과 지역 정치권이 지속적으로 정부를 설득하고 있으나,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 입장에선 ‘세종시-충북도’간 갈등을 부르는 해당 사업을 외면하는 분위기다.

결국 세종역 신설은 경제·타당성 키를 쥔 국회 세종의사당과 ‘한 배’ 타야할 운명이지만 문제는 세종의사당도 교착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1일 세종시에 따르면 시는 최민호 시장 출범 이후 ‘세종역’ 추진을 위한 다각적 행보를 펼치고 있다.

시 내부적으론 ‘세종역 신설을 위한 서명운동 및 릴레이 챌린지’를 통해 시민 공감대를 확산하고, 대외적으론 정부와 정치권을 지속 방문해 타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최 시장은 최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도 KTX 세종역 설치를 강력하게 어필했다.

하지만 정부는 세종역 문제에 대해선 조심스런 분위기다. 원 장관은 최근 진행된 취임 1주년 기자 간담회에서 “서산공항·충청권 광역철도 추진 의지는 확고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세종역 발언은 없었다.

세종시 입장에선 원 장관이 총선 출마를 위해 여의도로 떠나기 전 세종역이란 선물(?)을 받고 싶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차기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원 장관 입장에선 충북도와 갈등 구조를 외면할 수 없는 노릇이다.

결국 세종역은 국회 세종의사당과 맞물려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국토부는 2020년 7월 “세종역은 경제성이 부족해 현재 여건에선 신설 추진이 불가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다르다. 국회 세종의사당 수요 및 인구 증가 등의 여건 변화가 반영되면 당위성이 극대화 될 것이란 게 세종시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세종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과 미래전략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과제”라며 “현재 진행 중인 용역 결과가 올 연말쯤 나오면 국토부에 제출해 조속한 추진을 이끌 것”이라고 전했다.

국회 세종의사당이 가시화 될 경우 세종역 설치는 동반 될 수밖에 없다는 게 공통된 시각이다.

문제는 국회 세종의사당이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는 점이다. 국회 세종의사당은 이전 규모를 결정하는 국회 규칙 통과를 목전에 두고 ‘자문단 구성’이란 변수가 등장해 총선용 정치적 도구로 전락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세종역이 속도를 내기 위해선 국회 세종의사당의 진척이 이뤄져야 하지만 현재 정치권 시간끌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치적 논쟁과 지역 갈등 요소를 배제하고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사업이 진행돼야 향후 논쟁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