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제2집무실 정치적 논리 갇혀 속도 못내
국가균형발전위·국민통합위·충청권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
세종 지역사회, 전폭적 지원 활동 펼쳐주길 바라고 있어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에 둥지를 튼 국가균형발전 상징의 기관·단체들이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위한 전폭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수도권 일극화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의 첫 걸음인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은 정치적 논리에 갇혀 장기간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태동한 세종시를 구심점으로 삼은 범국민적 운동 확산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가균형발전의 주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세종시에 자리잡은 기관·단체들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최근 문을 연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부터 ‘국민통합위원회 세종지역협의회’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2027년 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는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와 충청권 메가시티 완성을 위해 주력하는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도 주목된다.
이들 기관·단체의 공통된 설립 목적은 ‘국가균형발전’이다.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은 출범식을 통해 "세종시 이전으로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 중 하나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만들기 위한 구심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도 세종지역협 출범 자리에서 "세종시가 행정수도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미래전략수도로 나아가기 위해서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하루빨리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도지사협의회는 중앙·지방 간 가교역할을 수행하면서 지방시대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 역시 충청권 메가시트를 넘어선 국가균형발전을 목표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이 외치는 ‘국가균형발전’이 헛구호가 되지 않기 위해선 ‘국회 세종의사당’ 등의 공통 의제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세종 지역사회는 이들 기관·단체가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위한 전폭적 지원 활동을 펼쳐주기를 바라는 분위기다. 현재 국회 세종의사당은 정치권의 의지 부족으로 동력을 잃은 분위기. 대통령 직속 기관과 지자체 합동 단체들이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공통된 목소리를 높일 경우 큰 동력이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세종 지역사회는 힘겨운 사투 중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연일 국회와 중앙무대를 방문하면서 국회 세종의사당의 조속한 건립을 호소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 청년위원회도 대전·충남·충북지역 청년위원회와 함께 국회세종의사당 조속 건립 촉구를 위한 서명운동을 진행 중이다. 서명자는 2000명이 넘어섰다. 이들은 추후 충청권 국회의원 등을 찾아 촉구결의안을 전달할 계획이다.
세종 정치권 관계자는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세종 지역사회의 초당적 움직임과 세종시에 둥지를 튼 국가균형발전 상징의 기관들이 함께 목소리를 낼 경우 현재 답보상태인 국회 세종의사당 등은 큰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세종시를 구심점으로 수도권 일극화 체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대적인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