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시범지역에 일부 항목 10점 가점
대전·세종·충남은 서류 평가 받아야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정부가 극소수의 대학에 지원을 집중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추진 방안을 최종 확정했다.
앞서 대전시와 충남도가 고배를 마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사업 대상 지역에 가점을 부여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지자체의 역할론이 급부상했다.
18일 교육부가 발표한 글로컬대학30 추진 방안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지자체, 지역 산업계 등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과감한 혁신을 추진하는 비수도권 대학 30개교를 선정해 1개교당 5년 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신청 대학들은 대학 간 통합을 비롯한 구조조정이나 산업계 등과의 연계를 통한 내외부 경계 허물기, 산학협력 허브 역할 등 혁신 비전과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
정부는 사업 추진을 위해 예산 지원 뿐만 아니라 선정 대학에 각종 규제 특례 혜택 등도 부여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궁극적으로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하는 RISE 사업과 연계돼 하나의 프로젝트로 추진된다고 볼 수 있다.
RISE가 지역과 대학의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면 글로컬대학은 체계 내에서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담았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내달 말까지 대학별로 혁신기획서를 접수받은 뒤 6월 중 15개교 내외로 예비지정 대학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3개월간 지자체, 산업체와 공동으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해 제출하면 9월 말 최종 심의를 거쳐 10개교 내외의 본지정 대학이 선정된다.
지역대학들은 해당 사업에 앞으로의 대학 예산 지원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존폐 여부를 판가름하게 될 것으로 보고 사활을 걸고 있다.
문제는 RISE 시범지역에 대해서는 가점이 부여됐다는 점이다.
앞서 RISE 시범사업 선정에선 대전시와 충남도가 고배를 마셨고, 세종시는 신청을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난달 글로컬대학 시안 발표에서 가점 부여 계획이 드러나자 지역 대학가에선 지자체의 사업 탈락이 대학 사업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반발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는 최종적으로 예비지정 과정에서 RISE 시범지역에 한해 '대학·지자체·산업계 간 실행체계 구축’ 관련 항목에 만점(10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RISE에 선정되지 못한 지역에선 지자체 협조를 통해 별도의 계획을 1페이지 분량으로 제출해 평가받아야 한다.
대전의 한 대학 관계자는 “이외 평가항목이 각 대학의 혁신방안과 추진체계, 허브로서의 역할 등을 지표로 한다”며 “모두가 준비를 비등한 수준으로 마쳤다면 지자체의 협조에 따른 10점으로 문턱을 넘느냐, 마느냐가 엇갈릴 수 있다. 지자체의 의지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