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태흠 충남지사가 자신의 결재권 절반 가까이를 부지사와 실·국·원·본부장에게 넘기기로 했다. 또 충남도 정책 결정의 방향을 잡는 각종 위원회의 ‘장’ 자리도 상당 수 내려놓는다. 정책적 권한도 위임하겠다는 것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각종 계획, 인사·조직 등 사무전결 처리 규칙상 도지사 결재사항 160개 사무 가운데 72건(45%)을 양 부지사와 실·국·원·본부장에게 위임키로 했다. 또 도지사가 위원장을 맡는 위원회 36개를 23개로 13개 줄인다.
김 지사의 이런 결심은 지난해 지방선거를 통해 도정을 맡은 지 1년여가 다 되어가는 시점을 맞아, 본격적인 자신만의 도정 스타일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충남도 행정조직과 본인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시너지 효과를 보겠다는 결단으로도 판단된다. 도지사 역할이라는 고정된 틀에 잡혀 크고 작은 도정을 보는데 매몰되지 않겠다는 것이다. 정책적 판단 영향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분야는 행정전문가인 실·국 책임자에게 맡기고, 김 지사 본인은 핵심 현안에 집중하면 된다. 대정부 활동이나 기업유치 등 대외적인 세일즈 활동이 활력이 붙을 전망이다.
김 지사는 그의 이력을 볼 때 행정가라고 하기 보다는 정치인에 가깝다. 행정적으로 미주알고주알 따지기 보다는 정치권과 협상하고 안팎으로 뛰어다니며 충남이 발전할 수 있는 성과를 이끌어 오는데 특화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지사는 평온하고 무난한 충남도정 보다는 꿈틀대는 도정을 원하는 듯하다. 충남도민도 민선 도지사에게 바라는 모습일 것이다. 한 편으로는 이런 결심에 따른 책임도 따른다. 결재권을 위임했다고 하지만 결국 행정과 관련된 모든 책임은 도지사가 진다. 또 대외적인 성과도 보여야 한다는 부담도 있다. 탄탄한 도정을 기반으로 꿈틀대는 충남이 되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