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랜드마크이자 주거·문화 중심지로 변화시킬 기폭제 평가
내년 도심융합특구·혁신도시 사업 정상화땐 시너지 효과 기대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대전역세권 개발 사업은 원도심 활성화 수준을 넘어 대전역 인근을 대전의 랜드마크이자 주거, 문화 등의 중심지로 변화시킬 기폭제로 평가된다.
특히 정부 주도의 도심융합특구, 혁신도시 조성 사업과도 연계되는 만큼 향후 기업, 공공기관 유치를 통한 지역 성장 거점으로의 변화도 예상된다.
12일 대전시와 동구에 따르면 대전역 일원 103만㎡(역세권 구역)와 옛 충남도청 일원 21만㎡(선화구역)은 2021년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로 선정됐다.
도심융합특구는 개발과 기업지원을 집적시켜 산업과 주거, 문화 등 우수한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 조성이 목표다.
여기에 대전 연축지구와 함께 역세권지구는 중소기업, 철도교통, 지식산업 관련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혁신도시 대상지로 지정됐다.
향후 혁신도시 조성이 완료되면 생산성 증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원도심 발전과 더불어 지역 경제 활성화 등 효과가 기대된다.
물론 현재 상황에서는 도심융합특구 관련 특별법 제정과 2차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계획 마련이 당면 과제로 풀이된다.
우선 도심융합특구 조성의 법적 근거가 되는 특별법 제정이 지연되면서 후속 절차에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당초 지난해 10월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됐던 기본구상 및 핵심사업 추진방안 마련 등을 위한 ‘대전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일시정지 된 상태다.
게다가 도심융합특구 관련 특별법 제정 지연은 대전 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내 존치관리구역(26만㎡) 개발 방안 마련을 더디게 하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4월부터 ‘대전역세권 개발 종합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시작됐지만 도심융합특구 등 개발과 연계된 계획 수립 필요성 때문에 용역이 일시 정지됐다.
여기에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정부 방침이 구체화 되지 않으면서 혁신도시 조성 역시 후속 절차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내년 정도면 도심융합특구, 혁신도시 조성 사업 모두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이들 사업이 현실화 되면 기존 역세권 개발 사업과 연계해 강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희조 동구청장은 "대전역세권은 전국 주요 역세권 중에서도 개발이 제대로 되지 않은 지역 중 하나"라며 "내년에 복합 2구역 개발이 첫 삽을 뜨고 도심융합특구, 혁신도시 조성 등이 더해지면 대전역 주변은 혁신 성장 거점지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