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옛 대전부청사. 충청투데이 DB.
▲옛 대전부청사. 충청투데이 DB.

대전시가 철거위기에 놓였던 옛 대전부청사를 매입해 보존키로 한 건 잘한 결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최근 확대간부회의에서 "(옛 대전부청사를)훼손하는 것은 문제인 만큼 충분히 검토해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보라"고 주문했다. 이 시장은 "옛 대전부청사의 문화재적 가치를 현재 판단하기 어렵지만, 50년 이상 세월이 더 흐르면 근대건축물로서 가치를 지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실상 옛 대전부청사를 존치하겠다는 의지로 받아들여진다.

옛 대전부청사는 대전이 읍에서 부로 승격한 뒤인 1938년 건립한 청사로, 대전을 대표하는 근대 건축물의 하나다. 대전시청사가 1959년 대흥동으로 이전할 때까지 청사로 활용됐다. 당시 1층은 부(시)청사, 2층은 상공회의소, 3층은 공회당 등으로 사용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20년 한 부동산 개발업체가 이 건물을 공매로 사들이면서 철거위기에 처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 업체는 옛 대전부청사 자리에 주상복합건물을 짓기로 하고, 건립계획을 자치구에 제출하기도 했다.

한 건물의 보존여부는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 그렇다면 옛 대전부청사는 과연 보존가치가 있는가. 결론적으로 말하면 보존가치가 큰 건축물임이 용역에서 밝혀졌다. 용역을 맡은 목원대 산학협력단은 옛 대전부청사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직후 재건기를 거쳐 산업화 시기에 이르는 대전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건축 자산 관점에서도 경관·예술·사회적 가치가 높다고 진단했다.

이 시장은 "비용이 얼토당토하지 않다면 매입해 공공기관 청사로 활용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대전시는 옛 대전부청사가 350억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행히 건물 소유주도 "문화재적 가치가 큰 건물이기에 대전시가 매입해 활용하려 한다면 적극 협조할 것"이라는 뜻을 내비쳤다고 한다. 옛 대전부청사가 지역의 소중한 근대 자산으로 보존될 수 있게끔 대전시와 건물주의 원만한 합의가 이뤄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