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소 대부분 道 위치해 ‘탈석탄 기조’ 영향 크지만
지역업체 수주율 7.8%… 우대지침 혜택 못봐 대안 필요

충남 석탄화력발전소 현황 및 정부 폐쇄 계획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남 석탄화력발전소 현황 및 정부 폐쇄 계획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의 대부분이 충남에 있지만, 정작 도내 건설업체들은 발전소 건설과 수리 등 공사에 있어 소외당하고 있다.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따라 석탄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시점이 멀지 않은 가운데, 지역업체의 발전소 공사 참여를 보장하는 대안이 요구된다.

10일 충남도에 따르면 발전소주변지역 지원법에 기반한 ‘발전소 주변지역기업 우대기준’이 2013년 12월 제정됐다.

국내 발전 5사가 발전소 건설 및 수리를 위해 공사, 물품, 용역 계약을 할 때 발전소 주변지역 기업에 우대를 주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인 현행 우대지침은 △공사 금액 30억원 미만 △발전소 소재 시·군 기업 대상 △지역업체 지분 50% 이상 참여 시 3점 가점 등이다. 문제는 이같은 혜택에도 불과하고 실제 지역 건설업체가 발전사 발주 공사에 좀처럼 발을 집어넣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1년 기준 도내 발전 3사의 발주공사액 2377억원 중 지역업체가 맡은 지분은 188억원으로, 수주율이 7.8%에 그쳤다.

지역기업을 위한다는 우대지침이 큰 도움이 되지 못한 셈이다.

지역 전문건설업계 관계자는 "발전소 공사에 들어간 업체 얘기를 들어보면 우대 규정이 있지만 적용을 안 해 혜택을 많이 못 봤다고 한다"고 전했다.

발전소 주변지역 기업 우대는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따라 전국에서 석탄화력발전소가 가장 많은 충남에서 대규모의 발전업 지각 변동이 일어날 전망임을 감안하면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다수의 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대체할 방침이다. 충남에서도 2036년까지 화력발전 12기가 멈추고 LNG가 최소 2기 들어설 예정이다.

LNG발전소 건설에 1기당 투입되는 예산은 약 7000억원. 충남 내 대규모 공사에 지역업체가 참여 기회를 보장받으려면 실효성 있는 우대지침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주장이다.

지역 종합건설업계 관계자는 "대형 프로젝트 사업이 충남에서 펼쳐질 텐데 우대지침 등 준비가 미흡하면 지역업체는 닭 쫓던 개가 지붕 쳐다보는 격밖에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도는 발전소주변지역 지원법의 시행령 등 개정을 위해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하고 있다.

개정 방향은 △공사 금액 제한 삭제 △발전소 소재 시·도 기업으로 대상 확대 △지역업체 지분 40% 이상 참여 시 7점 가점 등 지역업체 우대지침 확대다.

도 관계자는 "지역기업 우대 확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오는 6월 도내 발전 3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화력발전소 폐지가 예정된 타 시·도와 협력해 연내 개정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