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지 매매계약·道 재정지원 근거 민선 7기에 결정
"뒤처리 하는 상황… 당시 도지사였다면 다른 방안 추진"

김태흠 충남지사. 충남도 제공
김태흠 충남지사. 충남도 제공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2026년 개원을 앞두고 있는 충남 내포신도시 명지종합병원 설립 과정을 두고 상식에 어긋난 부분이 많다고 비판했다.

의료용지 매매계약, 병원 건설에 대한 도의 재정지원 등이 민선 7기 때 결정돼, 그 일의 ‘뒤처리’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 김 지사의 주장이다.

김선태 충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천안 10)은 30일 도의회 제343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명지종합병원 건립과 관련된 질문을 김 지사에게 물었다.

명지의료재단은 충남 내포에 525병상 규모로 종합병원을 건립, 2026년 3월 개원이 예정돼 있다.

이날 김 의원은 김 지사에게 "공약에 대학병원 건립이 있었는데, 명지종합병원 설립과 충돌하는 것 같다"며 "명지종합병원 설립으로 인해 공약을 포기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질문했다.

김 의원의 질문에, 김 지사는 명지종합병원의 의료용지 매매계약을 체결한 시기가 상식에 어긋나는 상황이어서 벌어진 일이라고 반박했다. 김 지사는 "지난 6월 1일이 선거일인데, 명지의료용지 설립부지 체결은 선거기간이었던 지난 5월 11일에 진행됐다"며 "도지사가 다시 될지 안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무책임한 행동이었다"고 양승조 전 지사를 비판했다. 그는 이어 "굳이 따지자면, 대학병원 설립이라는 공약은 명지종합병원 의료용지가 체결될 때 이미 만들어져 있던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명지종합병원 설치비를 도에서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을 토로했다.

도는 ‘도청 이전을 위한 도시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병원 설치비의 70%(상한액 1060억원)까지 재정을 지원할 수 있다.

김 지사는 "지원 근거도 민선 7기 도정에서 조례를 만들어서 재정을 지원하도록 한 것"이라며 "제가 당시 도지사였다면 이런 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안으로 추진했을 것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발언 과정에서 "민주당이 집권했던 도정에서 벌인 일의 뒤처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명지의료재단에 예산 추가 지원은 없다고 단언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디지털헬스케어 등 연계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우리 도가 예산지원을 추가로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열어두고 있다고 들었다"고 김 지사에게 질문했다.

김 지사는 "그런 거 없다"며 "누가 그런 말을 했는지 알려달라. 그 공무원을 질책하고 처벌하겠다"고 추가지원 내용을 일축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