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업은 과거 대표적인 휴양산업인 동시에 지역 관광의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는 주요 콘텐츠였다. 특성상 숙박과 연계됐던만큼 외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최소 1박 이상 머무르게 하며 소비 유발효과가 커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 지역에서도 대전 유성온천과 아산 도고온천, 충주 수안보온천 등이 과거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치며 외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효자역할을 한 바 있다. 가족단위 온천관광은 물론 부모님을 위한 효도관광 상품으로 자리잡으며 해당 지역의 경제 상당부분을 책임지는 대표적인 관광자원이었다.
1970년와 1980년대 호황기를 지나고 차츰 쇠락하기 시작한 온천업은 2000년대 들면서 본격적으로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가장 큰 원인은 급격한 관광트렌드 변화에 따른 급격한 수요 감소가 꼽힌다. 온천이라는 낡은 콘텐츠만으로 새로운 세대들의 변화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변화를 외면했던 온천업계가 부랴부랴 대책을 마련하고 대응에 나섰지만 이미 실기했다는 걸 깨닫기까지 오랜시간이 걸리진 않았다. 많은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추진했지만 역부족이다.
최근에는 행정안전부가 ‘대한민국 온천대축제’ 명칭을 ‘온천산업 박람회’로 변경하고 죽어가는 지역 온천 살리기에 나섰지만 큰 기대감이 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온천산업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있긴 한건지 오히려 의문이 든다. 축제 대신 관련 산업까지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의도는 좋다. 하지만 정부 공모사업임에도 예산 지원이 전무하다는 점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관련 예산 전액을 해당 지자체가 책임을 지라는 말인데 옳은 방향인지 모르겠다.
예산 부담 때문인지 결국 충청권에선 아산시만 공모에 도전키로 하는 등 온천을 보유한 지자체들의 반응은 식어버린 온천수만큼이나 미지근하다. 관련산업 활성화를 위해 공모까지 진행하는 것이라면 예산 지원과 인센티브 등으로 전국 온천지역의 열띤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첫 번째 일텐데 말이다. 공모 단계부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외면받는 정책이 과연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진정으로 온천산업을 살리고 온천관광의 화려한 부활을 꿈꾼다면 먼저 예산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그 다음에도 넘어야할 산이 많지만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