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국무회의서 日 강제징용 배상 개선방안 의견 밝혀
"한일 미래지향적 협력, 세계 자유·평화·번영 지켜줄 것" 강조하기도
[충청투데이 박명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개선 방안에 대해 "그동안 피해자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결과"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열린 국무회의에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을 당한 국민의 아픔을 치유하고, 합당한 배상을 받도록 대한민국 정부는 과거부터 꾸준히 노력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과거 강제징용 피해자 구제 노력과 관련해서는 "1974년 특별법을 제정해서 8만 3519건에 대해 청구권 자금 3억달러의 9.7%에 해당하는 92억원을, 2007년 또다시 특별법을 제정해서 7만 8000여 명에 대해 약 6500억원을 각각 정부가 재정으로 배상해 드렸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지금은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 경제, 과학기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며 "한일 양국 국민의 교류 현황은, 우리 국민의 방일은 코로나 전인 2018년 연간 753만명이었고, 한일관계가 악화된 2019년에도 558만명에 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국민의 방한은 코로나 전인 2019년 327만명에 달했다"며 "일본 국민은 코로나 여행 규제가 풀리면 가장 가고 싶은 나라 1위로 한국을 꼽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한일 교역 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교역 규모에서 6~7%에 이르고, 우리 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일본과 일본기업의 투자 규모가 전체의 22%가 넘는다"며 "한일 간의 미래지향적 협력은 한일 양국은 물론이거니와 세계 전체의 자유, 평화, 번영을 지켜줄 것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국의 미래 지향적 협력을 위해 양국 정부의 각 부처 간 협력 체계 구축과 아울러 경제계와 미래 세대의 내실 있는 교류 협력 방안을 세심하게 준비하고 지원해 주기 바란다"고 국무위원들에게 당부했다.
서울=박명규 기자 mkpark041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