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 본회의장. 사진=연합뉴스.
국회 본회의장. 사진=연합뉴스.

1월 임시국회가 소집된 지 2주일을 넘었지만 ‘개점휴업’이란 비난이 일고 있다. 이번 임시국회는 민주당의 소집 요구로 지난 9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한 달간 열린다. 하지만 여야가 당리당략에 휩싸인 나머지 지금까지의 성과는 눈을 씻고 봐도 찾기 힘들다. 본회의가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은 게 단적인 예다. 허송세월을 보내다 아무런 소득 없이 임시국회가 막을 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러고도 억대의 세비를 챙기는 국회의원들이 국민들은 마냥 부러울 따름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민생과 안보위기 대응’을 임시국회 소집 이유로 내걸었다. 민생현안 질의, 북한 무인기 도발 규탄결의안 채택,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결과보고서 채택 등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결과보고서 채택을 제외하고는 무얼 했는지 모르겠다. 여야의 대치 상황이 이어지면서 주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안전운임제와 같은 긴급 민생법안들은 처리가 요원하다. 국민들만 애를 태울 뿐 국회는 느긋하다.

애초부터 임시국회에 큰 기대를 가졌던 건 아니다. 국민의힘은 이번 임시국회를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노웅래 의원을 위한 방탄국회로 규정해 비협조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다. 외려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 몰두하는 양상이다. 임시국회를 소집한 민주당은 여당의 실정을 공격하며 소극적인 태도다. 국민들은 방탄국회라는 비판까지 무릅쓰고 연 임시국회의 소득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진다.

여야가 공전을 거듭하는 사이 여야의원 40여명이 해외출장을 떠나 국회 운영 자체가 힘든 상황이 벌어졌다. 급기야 정의당이 "민생을 내걸고 연 임시국회가 양당의 무신경 탓에 무의미하게 흘러가고 있다"는 비판논평을 내기에 이르렀다. 국회의원들은 지난 설 연휴기간 동안 지역구 곳곳을 둘러보며 민심 청취에 나섰다. 경기침체 등으로 국민들이 얼마나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지 목격했을 것이다. 남은 회기동안만이라도 민생 법안 처리에 최선을 다하는 게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