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옛 대전부청사. 충청투데이 DB.
▲옛 대전부청사. 충청투데이 DB.

보존이냐 개발이냐의 기로에 놓인 옛 대전부청사에 대한 적절한 보존 방안이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옛 대전부청사 보존 및 활용방안’ 연구용역 결과 대전부청사가 지역의 정체성과 특색을 내재하고 있으며, 대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표 건축물로서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시 중구 은행동 소재 대전부청사 건물은 1936년 준공 후 80년간 대전상공회의소·대전공회당·대전시청·미군정청 등으로 사용된 대전역사의 산실이다.

주지하다시피 대전부청사 건물은 대전에 몇 안 남은 근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 한 때 대전시가 매입의사를 보이기도 했지만 2020년 공매절차를 통해 민간업체에 매각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여기에는 대전부청사 건물이 등록문화재가 아닌 점도 한 몫 한다.

문화제 보호조례상 등록문화재일 경우 매입을 검토할 수 있다고 돼 있다. 그러다보니 보존을 하려면 시가 매입에 나서야 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해당 건물은 환수 당위성이 적고 비용도 만만치 않아 현재로선 매입 의사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고 한다.

보존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느냐다. 용역을 수행한 목원대 산학협력단은 옛 대전부청사가 대전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는 경관·예술·사회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라고 평가했다. 1996년 대대적인 리모델링으로 외부는 변형됐지만 내부는 건립 당시 건축 형태와 요소들이 잘 남아 있는 상태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충분히 의미 있는 건물이라는 설명이다.

대전시가 전향적인 입장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대전시가 매입해 문화재로 등록한 뒤 제2시립미술관이나 대전문학관, 서예진흥원, 관광공사 청사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용역보고서에 담겼다. 완전 매입이 어려운 경우 건물주와 협의해 적정한 보상을 제공하며 부분 보존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대전시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