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의 2022년 고령자 통계를 보면 올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이다. 고령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17.5%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인구 비중은 불과 3년 뒤인 2025년에 20.6%로 늘어날 전망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도달 연수는 7년이다.

인구고령화 진행이 너무 가파르다. 초고령사회 진입까지 오스트리아가 53년, 영국이 50년, 미국이 15년, 일본이 10년 걸렸음을 감안할 때 유례없는 속도다. 관건은 인구고령화에 대한 준비가 돼 있느냐다.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는 절반(56.7%)을 약간 상회할 뿐이다. 본인이나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중이 65.0%에 달한다. 65~79세 고령자 54.7%가 취업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를 물었더니 역시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흔히 노인의 3고(苦)로 빈곤, 질병, 고독을 꼽는다. 빈곤은 취업여부와 직결된다. 요즘 65세는 청년이란 말이 있듯이 얼마든지 근무가 가능하다. 하지만 정부의 공공형 노인일자리를 제외하면 실제 노인들이 취업할 수 있는 곳은 많지 않다. 정부는 민간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민간·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늘린다는 방침이나 고령자들에게 얼마나 혜택이 돌아갈지 미지수다.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청년 일자리와의 상관관계를 따져봐야 한다.

우리나라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어떻게 빈곤율을 낮출 것인가. 초고령사회로 넘어가면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15~64세)를 뛰어넘는다. 노동력 감소는 생산력 저하로 이어진다. 생산연령인구 1명이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해야하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일자리, 연금, 주거 등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