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금융지원 효과
내달 말 종료… 리스크 우려↑

시내 은행 대출안내문 모습. 사진=연합뉴스.
시내 은행 대출안내문 모습.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이후 충청권 대출 연체율이 낮아졌지만, 정부 금융지원에 따른 ‘코로나 착시효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년 동안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대출이 늘어난 상황에서 내달 말 금융지원 종료를 앞두고 대출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을 보면, 올해 6월 충청권 예금은행 원화대출금 연체율은 2020년 6월과 비교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 0.36%→0.22% △세종 0.05%→0.05% △충남 0.17%→ 0.1% △충북 0.14%→0.13% 등이다.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대출의 비율로, 코로나 사태 초기보다 지역 내 대출 연체가 줄어든 모양새다.

코로나 직격탄을 입은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율도 2년 전에 비해 큰 폭 줄었다. 대전의 경우 2020년 6월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54%에서 올해 6월 0.28%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이밖에 충남 0.2%→ 0.11%, 세종 0.08%→0.04%, 충북 0.18%→0.17% 등 모두 줄었다. 지난 2년 새 몸집을 키운 가계대출 역시 연체율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경제 악화로 지역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은행 대출이 늘어난 가운데 정부의 금융 지원으로 대출 연체라는 급한 불은 끈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 주도로 2020년 4월부터 시행된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만기 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는 현재까지 4차례에 걸쳐 연장됐다.

대출 규모 자체는 큰 폭 늘었지만 금융지원의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대출 연체율이 낮아진 일종의 ‘코로나 착시효과’인 셈.

실제 5월 기준 지역 예금은행 여신 잔액은 총 97조 7534억원이며 1년 전 같은 달보다 4.6% 오른 수치다. 기업대출 5월 잔액도 80조 99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1% 증가했다.

비은행금융기관(2금융권) 5월 여신은 전년 동기 대비 16.1% 늘면서 1금융권과 2금융권에서 대출을 모두 받은 다중 채무 위험성까지 거론되는 실정.

일각에서는 내달 말 금융 지원 종료를 앞두고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비롯해 금융 취약계층의 대출리스크를 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현상은 과장과 임미라 조사역은 대출금리 추가 상승, 금융지원 축소 등 여건 변화 시 먼저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는 취약차주와 고령층, 청년층에 대한 대출리스크를 경고했다.

연구 보고서에서 현상은 과장은 "정책당국은 금융지원·완화조치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취약그룹의 연체가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단계적으로 정상화하는 동시에 부실 위험에 대응해야 한다"며 "취약계층은 이자 유예만 먼저 종료하고 만기연장 및 원금상환유예 조치는 당분간 유지하는 한편 일시상환방식 대출을 장기분할 상환 방식으로 전환해 원금을 꾸준히 상환할 수 있게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