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연, 포럼 열고 교육발전특구 시범 지정 등 논의
산업과 연계 일자리 창출·주거 지원 모델 개발 전망
제안서에 청년 유출 심각성 인정하고 해결책 담아야
과학기술기반 도시·생활인프라 적극 활용 필요성도

대전세종연구원에서 27일 ‘제1회 교육발전포럼’이 열렸다. 사진=강승구 수습기자
대전세종연구원에서 27일 ‘제1회 교육발전포럼’이 열렸다. 사진=강승구 수습기자
대전세종연구원에서 27일 ‘제1회 교육발전포럼’이 열렸다. 사진=강승구 수습기자
대전세종연구원에서 27일 ‘제1회 교육발전포럼’이 열렸다. 사진=강승구 수습기자
대전세종연구원에서 27일 ‘제1회 교육발전포럼’이 열렸다. 사진=강승구 수습기자
대전세종연구원에서 27일 ‘제1회 교육발전포럼’이 열렸다. 사진=강승구 수습기자

[충청투데이 최윤서·강승구 기자] “대전에서 태어나 배우고 일하며 가정을 꾸리고 살 수 있는 ‘깜짝 놀랄’ 수준의 정책을 발굴해야 합니다.”

27일 교육발전특구 논의를 위해 진행된 대전세종연구원 ‘제1회 교육발전포럼’에서 한 교육전문가는 이 같이 주문했다.

이날 대전시, 대전시교육청은 지방소멸시대 생존전략인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을 위한 산학연 협력을 본격화 했다.

시와 교육청은 1차 공모 기한인 내년 2월 9일까지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제안서를 교육부에 제출해야 한다.

현재로선 ‘고등학교-대학-산업’을 연계한 일자리 창출방안과 보육과 주거 지원에 초점을 맞춰 모델을 개발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이탈 등에 대한 지역별, 연령별 원인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시민이 원하는 정책, 특히 정부가 추진하지 못하는 ‘튀는 정책’ 발굴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을 맡았던 이해영 보훈교육연구원장은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대전은 실행가능한 영역에서 전략적으로 다가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원장은 “시간이 정말 촉박하다. 컨설팅 업자들이 써주는 제안서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며 “외람되지만 카이스트, 대덕연구단지랑 엮으면 또 실패한다. 충남대, 한밭대와 함께 대전만의 모델을 개발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지원 예산이 부족한데 차라리 고등교육에 포커스를 맞추고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제도를 구체적으로 정비하는 게 나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대학존폐는 지역경제와 직결된다며 대전 청년 유출 문제의 심각성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프레임으로 가야한다고도 제언했다.

이 원장은 “10~20대는 대학진학, 20~30대는 취업, 40~50대는 이직, 60대 이상부턴 병원 등의 이유로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이전한다”며 “저출산, 지방소멸, 인구블랙홀을 결국 청년을 통해 해소할 문제”라고 조언했다.

그는 “일자리가 사람을 모이게 하고, 사람이 곧 일자리를 창출한다”며 “매력적인 대전이 되기 위해선 청년이 지방에 정착하고 살 수 있는 지역사회 협력모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지속가능한 대전의 교육발전특구 모델로 산학연계도시, 평생교육도시, 자치교육도시를 꼽는 의견도 있었다.

두 번째 주제발표자인 박현용 덕성여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대전의 매력과 가치를 ‘대한민국의 미래도시’로 전망했다.

박 교수는 “대전은 교육발전특구의 효과성과 필요성을 봤을 때 굉장히 애매한 지역”이라며 “다만 대전은 과학기술기반 도시에 정주, 생활인프라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교육이 첨가되고 일자리가 연계되면 조기 성과를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를 위해선 학부모와 기업이 원하는 교육,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제도 개선 등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꼽았다.

박 교수는 “지자체가 중심이 돼 지역대학, 교육기관이 다양화 된 유형 속 지역 특성에 맞춰 완전히 새로운 협력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마무리했다.

최윤서 기자·강승구 수습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