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장기화 여파 물량 감소
고금리·원가상승에 이익률 하락
안전규제 강화 현장관리 부담도

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
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충청권 건설업계의 앞길이 막막하다.

장기간 지속된 경기 침체 여파로 수주물량이 감소하면서 출혈경쟁으로 인해 매출이 늘어도 이익률은 오히려 하락,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고금리·원가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 상승도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여기에 건설안전 관련 각종 규제가 강화 추세를 보이면서 현장관리 부담도 건설업계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이같은 건설업계의 현실은 통계수치로도 증명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10월 건설기업 경기 실사지수(CBSI·100을 기준치로 그 이하면 부정적)’는 66.3으로 전월 대비 7.0p 하락했다. 이는 18개월내 최저 수준으로,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신규수주지수가 64.0으로 전월 대비 7.3p 급락하면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물량 감소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토목이나 비주택 분야에 비해 공종별 파급효과가 큰 주택 부문은 59.5로 전 달보다 무려 14.1p 추락했다.

특히 대기업보다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의 부정적 전망이 크다는 점이 건설업계의 구조적 양극화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기업지수는 91.7인 반면 중견기업지수는 59.3, 중소기업지수는 48.1에 불과했다.

대부분 중견·중소기업인 충청지역 건설업계의 암울한 현주소다.

국가데이터쳐의 10월 고용동향에서도 이같은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그대로 드러난다.

전체적인 취업자수는 서비스업의 견인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만 3000명 증가했으나, 건설업은 오히려 12만 3000명 줄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문을 닫는 업체도 증가세다.

올들어 10월 현재 폐업신고한 충청지역 건설업체는 모두 330개에 달한다.

최근 3년간 폐업업체 수가 300개를 상회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3년간 1000개가 넘는 업체가 사업을 포기한 셈이다.

이처럼 건설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국회와 정부는 건설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어서 건설업계의 한숨은 더욱 깊어간다.

정부가 지난 9월 내놓은 노동안전종합대책은 건설현장에서 연간 3건 이상 사망사고 발생시 최대 영업이익의 5% 과징금 부과 등 제재 수위를 한층 높였다.

이뿐만 아니다. 국회의안정보시스템 분석 결과, 안전한 일터위원회 신설을 비롯해 작업중지권 요건 확대, 산업별 안전보건교육 인프라 강화, 고위험 공정 도급 제한, 감시인 배치 의무화 등 건설 관련 규제 법안이 줄줄이 발의되고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건설업 특성상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한 제도적 개선엔 소극적이면서 각종 규제 강화 등 오히려 건설업계를 옥죄는 법안과 정책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올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의 냉혹한 현실을 면밀히 점검, 건설 경기 회복과 안전관리 강화를 병행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