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계약 보증금 현금 납부 등 요구
"수법 교묘해져… 공식연락처 확인해야"

사기범이 사칭한 위조명함[영동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사기범이 사칭한 위조명함[영동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이대현 기자] <속보>=충북도내 일선 시군에서 지역 자영업자와 납품업체 등을 대상으로 한 공무원 사칭 범죄가 다시 한번 기승을 부리고 있다. <6일자 4면>

6일 제천시에 따르면 시 회계과에 지역 자영업자와 납품업체들의 관련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실제 발주 사실과 담당 공무원 근무 여부를 묻는 전화인데, 아직 피해 사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실제 공문서 양식과 공무원증, 명함 등을 정교하게 위조해 시청 직원을 사칭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공서 슬로건·심볼 마크 등을 넣은 위조 명함이나 공문을 제시해 믿게 한 뒤 자재 대금 대납이나 선결제 등을 요구한다.

나라장터 입찰에 참여한 낙찰업체에 연락해 추가 계약 진행을 위한 계약보증금 현금 납부를 요구하는 등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영동군에서는 실제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영동군에 따르면 최근 전기공사업자 A씨가 영동군 재무과 ‘김현수’라는 인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이 인물은 "전기차 충전소 설치 전기공사가 마무리됐는데 소방 자재를 구입해야 한다"며 문자메시지로 위조된 명함을 보냈다. 실제 공사 세부 내용까지 언급하는 등 치밀함을 보였다.

그는 "선입금하면 추후 정산하겠다"고 A씨를 속여 두 차례에 걸쳐 2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영동군 재무과에 ‘김현수’라는 인물이 없는 것을 확인한 A씨는 경찰에 신고했다.

이 여파로 제천과 보은 등 일선 시군에도 특정 공무원의 실제 근무 여부를 확인하는 전화가 잇따르고 있다.

제천시 관계자는 "공문서나 명함, 공무원증을 제시받더라도 무조건 신뢰하지 말고 시청 누리집의 공식 연락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송금하거나 물품을 발송할 경우 회복이 어려운 만큼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본보는 위조된 회계과 직원 명함을 제시하며 전기공사업체에 접근해 "추가로 수의계약을 줄 테니 만나자"고 사기행각을 벌이려던 사례를 보도했다.

이 업체는 지난해 시청이 발주한 입찰에 참여해 공사를 수주한 적이 있다.

업체 대표는 "아마 입찰정보를 통해 개인 연락처를 알아낸 뒤 접근한 것 같다"며 "미리 사기행각이라는 걸 알아서 다행히 피해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제천=이대현 기자 lgija2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