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보람동의 한 상가 외부. 임대문의를 알리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 충청투데이 DB.
세종시 보람동의 한 상가 외부. 임대문의를 알리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세종시가 국정감사 핵심이슈로 떠오른 지역 ‘상가공실 사태와 침체된 상권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 대응에 나섰다.

상가용도 규제완화, 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 등 다양한 정책추진을 통해 지역 경제 회복을 꾀하고 있다.

세종시 등이 알린 올해 2분기 기준, 세종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6.7%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대평·소담·보람동 강변 등 일부 지역 공실률은 이미 50%를 넘어선 상태다.

주요 상가 건물들의 공실 면적은 장기간 심각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어진동 엠브릿지는 1만 2857㎡의 전용 면적 중 2000~2500여평이 비어 있다.

세종파이낸스센터1은 5726㎡ 중 4248㎡가 공실로 남아 있다. 대평동 해피라움 블루는 1만 5613㎡ 중 9218㎡가 공실로, 지역 상권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SM메디컬센터와 황산프라자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상가 공실의 주요원인으로는 초기 과잉공급, 높은 분양가 및 임대료, 정주인구 부족,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용도 제한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온라인 쇼핑은 오프라인 상업시설에 대한 수요를 크게 줄였다. 임대료가 자산 가치 평가 기준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하향 조정이 어려운 구조도 실수요자 유입을 막는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는 행복도시건설청과 LH와 협력해 상가 공실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이들 기관은 수요 진작(세종시), 공급 총량 조절 및 규제 완화(행복청), 상업 환경 개선과 접근성 확보를 담당(LH)하는 삼박자 역할 분담 체계를 구축했다.

수변상가와 BRT 상가에 대한 용도 규제도 대폭 완화했다.

시는 향후 3년간 ‘행복도시 상업기능 활성화 연구용역’을 통해 상권 침체 원인을 분석하고, 상권 활성화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중앙부처 추가이전 및 공공기관 유치 프로젝트 역시 상가 공실 문제 해결의 중요한 열쇠로 보고있다. 세종엔 수천 평 규모의 유휴 사무공간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 시는 이 공간을 중앙부처나 중소형 공공기관의 입주 공간으로 활용하는데 공을 들이겠다는 방침이다.

주요 공실건물로는 엠브릿지(2000~2500평), 세종파이낸스센터1(4248평), SM메디컬센터(1024평) 등이 있다. 중앙 냉난방, 주차시설, 사무실 구조를 완비하고 있어 공공기관의 즉시 입주가 가능하다는 게 매력적이다.

때마침 새정부는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정부세종청사 포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사무공간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맞물려, 대평동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대평동의 한 상업용 건물은 99.5%의 공실률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 기관의 대규모 인원 수용과 조직 확대, 편리한 교통 등을 고려할 때, 유리한 조건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새정부는 이 지역의 공실 건물을 직접 살펴본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신청사 건립이 이뤄지겠지만, 당장은 공공기관 등의 단계적 이전을 통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 공공과 민간 간 협업을 촉진하는 정책적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