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선위, 경과 대역 정하는 절차 길어져
위원회 내부서도 노선 두고 의견 분분
환경단체·일부 지자체 간 갈등 불거져
반대 주민 ‘전력 식민지화 ’ 비판 목소리

송전탑.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송전탑.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김영정 기자] 한국전력이 추진 중인 ‘345kV 새만금-신서산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다.

입지선정위원회(이하 입선위)에서 송전선이 통과하는 경과 대역을 정하는 절차가 길어지면서, 이후 송전선이 어느 마을을 지날지 정하는 세부노선(경과지) 선정도 당초 계획보다 늦어질 전망이다.

이 사업은 전북 새만금에서 충남 서산 신서산변전소까지 345kV 송전선을 잇는 국가 프로젝트로 수도권과 충남권의 전력 공급 안정을 목표로 한다.

입지 선정은 우선 송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넓은 구간인 ‘경과대역’을 선정하고, 이후 그 범위 안에서 실제 노선을 결정하는 ‘세부노선(경과지)’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한전 관계자에 따르면 당초 9~10월로 예정됐던 후보경과대역 선정은 12월 말에서 내년 초 사이 결정될 예정이다.

경과 대역이 확정되면 다음 세부 노선을 정하는 절차에 들어가며, 이 과정에서는 다시 별도의 위원회가 구성된다.

송전선이 실제 어느 마을을 지날지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 또한 추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원회 내부에서는 해안 인근 경유 노선과 내륙직선 경유 노선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며,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려는 입장과 주거지 인접 우려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또 환경단체와 일부 지자체 간 입장차도 뚜렷해, 송전선로 노선 결정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위원 간 합의를 중시하며 충분히 논의하다 보니 일정이 다소 늘어났다"며 "위원회 논의와 주민 의견을 반영해 최적의 노선을 찾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지역 주민들은 송전선로 통과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환경 훼손과 전자파 피해, 경관 문제 등을 우려하며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해 지역이 희생되는 것 아니냐"고 비판한다. 일부에서는 이를 ‘전력 신민지화’ 라며 지적하기도 한다.

한전은 "이번 사업은 송전망 확충뿐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며 "향후 환경영향평가와 주민협의 절차를 차례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정 기자 yeongjeong089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