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인구소멸 시대 증평이 찾은 해법은
上. 돌봄이 지역경제를 살린다
中. 청년이 머무는 힘, 돌봄과 정책의 결합
下. 인구 지속성을 위한 선택

下. 인구 지속성을 위한 선택
돌봄20분 도시 생활밀착 체계 구축
하루 평균 아동·노인등 850명 이용
이용자 만족도 조사서 82% “만족”
돌봄 종사자도 안정적 일자리 얻어
단순 복지 넘어 공동체 유대 강화
생활권인구 증가 불이익 개선해야

▲ 이재영(왼쪽) 증평군수가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가 주관한 지방행정혁신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증평군 제공

[충청투데이 김진식 기자] 인구소멸 시대에 증평군이 찾은 해법은 ‘돌봄’으로 귀결된다.

이재영 증평군수도 "증평의 돌봄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인구와 지역의 미래를 지켜내는 투자"라고 확신하고 있다.

군의 돌봄 정책이 인구 증가를 견인한다는 사실은 각종 수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구 3만 7000여명의 초미니 지자체지만 생활권 인구가 10만명에 육박하는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군은 장뜰시장, 노인복지관, 군립도서관, 생활체육시설 등의 시설이 증평 생활권 인구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 이들 시설은 이미 지역 경계를 넘어 군 생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돌봄을 기반으로 한 군의 혁신적인 복지정책은 전국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4년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지원사업 A등급을 획득하며 여성가족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생산성대상 복지 분야 1위, 인사처 적극행정 우수사례 인사처장상도 받았다. AI 기반 치매 예방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 돌봄 사례는 ICT 융합형 복지의 선도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2025년에는 한국지방자치학회가 주관한 지방행정혁신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돌봄 20분 도시’라는 개념을 앞세워 생활밀착형 돌봄 체계를 구축한 점이 전국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작은 군 단위에서 연이어 전국적인 수상 실적을 거둔 것은 이례적이다. 수상은 단순한 성과가 아니라, 증평 돌봄이 전국 확산 가능한 모델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군의 돌봄 망은 하루 평균 아동 500여명, 노인 350여명이 이용한다. 주민 만족도 조사에서 82%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한 부모는 "퇴근이 늦어도 아이를 맡길 수 있어 안심된다"고 응답했고, 한 어르신은 "이제는 외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여기에 돌봄 종사자들은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었다는 점에서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입을 모은다.

이 군수는 "돌봄의 효과는 단순한 복지를 넘어, 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 있다"며 "아이와 어르신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은 곧 청년이 머무를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세대를 아우르는 돌봄의 힘이 인구 지속성의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은 돌봄을 중심으로 한 인구 지속성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도안면 화성리 청년 보금자리, 복합문화예술회관과 스포츠테마파크 같은 대형 인프라, AI 기반 스마트 돌봄 시스템이 결합하면 삶의 질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반면 생활권 인구가 증가하면서 국가 지원 등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은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증평군의 노인복지관, 도서관, 생활체육시설 등은 늘 만원에 가깝다. 주민등록상 인구보다 훨씬 많은 생활권 인구가 몰리지만, 재정 지원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은 국가의 지원 기준이 주민등록 인구를 중심으로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역 여건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거나 지자체 간 벽 없는 협력과 상생 발전을 도모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어 교부세 산정 기준의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 군수는 "증평군의 사례는 작은 농촌 군이라도 돌봄을 통해 인구 지속성의 기반을 다지고, 전국적으로 주목받는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국가 정책이 지역의 특성을 조금 더 세심하게 반영한다면 돌봄의 성과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

증평=김진식 기자 jsk122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