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모집 비상장법인 5월 설립·운영
청주시 내부서 ‘정보유출’ 가능성 제기
특정업체 사전교감 의혹 규명 단서 될듯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매각 시기와 절차 등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청주시외버스터미널이 매각 추진 이전부터 펀드 투자자 모집을 위한 비상장법인이 설립돼 운영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매각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는 특정업체와 사전 교감설의 실체를 규명할 단서가 될 것으로 보여 시외버스터미널 매각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될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의 올 상반기 경영공시 자료 분석 결과, NH투자증권은 20억원을 투자, ‘청주시외버스터미널현대화사업’으로 등록된 법인의 보통주(비상장) 2만 5000주를 매입했다.
문제는 NH투자증권이 이 법인의 주식을 최초 취득한 시기가 지난 5월 2일로, 시외버스터미널 현대화사업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시점이라는 점이다.
청주시가 민간 매각을 통한 시외버스터미널 현대화사업을 확정하지도 않은 시기에 이미 시외버스터미널 현대화사업 투자자 모집을 위한 펀드가 운용되고 있었다는 말이다.
시는 지난해말 시외버스터미널 대부계약 종료에 따른 향후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청주시정연구원에 의뢰,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5월부터 매각 기본계획을 구상해 왔다.
이어 지난 7월 공유재산심의회를 열어 시외버스터미널 매각을 위한 공유재산 처분 심의안을 의결한 뒤 지난달 25일부터 열리고 있는 청주시의회에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을 제출했으나 해당 상임위원회에서 부결처리된 상태다.
이처럼 시외버스터미널 매각 계획이 사실상 올들어 5월부터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투자자 모집 목적의 비상장법인이 설립돼 운영중이라는 사실은 내부 정보 유출 또는 특정업체와 사전 교감 의혹을 받기에 충분하다.
시의회 의결을 거쳐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이 확정돼야 매각 추진이 가능함에도, 확정되지 않은 투자 목적물에 대한 투자자 모집을 한다는 건 법적으로도 위험성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시의회에서 공유재산관리계획 변경안이 최종 부결되면 시외버스터미널 매각 자체가 불가능, 투자자 모집 자체에 따른 법적 논란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 배경이다.
더욱이 시가 시외버스터미널 매각 계획에 따른 사업명을 확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펀드명을 ‘청주시외버스터미널현대화사업’이라고 명시한 것은 시와 사전교감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실상 경영 목적이 아닌 투자자 모집을 위한 비상장법인 특성상 투자자를 비공개, ‘청주시외버스터미널현대화사업’의 투자자 명부는 확인이 어렵다.
그러나 NH투자증권이 국내 4대 메이저 투자증권사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 목적물에 대한 구체적인 투자 정보와 가치를 충분히 판단했을 개연성이 높은 만큼 해당 펀드의 신뢰성을 뒷받침한다.
특히 민간 매물도 아닌, 아직 매각이 확정되지도 않은 청주시의 공유재산이 투자 목적물로 나온 것은 시와 사전교감을 통한 정보 제공이나 구체적인 추진계획 등을 공유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게 관련업계의 설명이다.
또 지난 2021년 6월 펀드 법인인 신한노틱제1호사모투자합자회사가 시외버스터미널 운영업체인 ㈜청주여객터미널의 지분 100%를 매입한 만큼 ‘청주시외버스현대화사업’ 펀드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시외버스터미널 매각 과정에서 특정업체와 사전교감 의혹이나 내부 정보 유출 등에 대한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외버스터미널 관련 펀드가 운영중인 사실은 몰랐다"며 "매각과 관련한 내부 정보 유출이나 특정업체 사전교감설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