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매입물량 3000→8000호로
매입 상한가 기준도 90%로 상향
비아파트 매입 쉽지 않아 아쉬움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충청권 내 악성(준공 후) 미분양 상승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초부터 악성 미분양 매입을 추진해왔던 정부가 매입 정책을 확대하면서 미분양 물량 해소에 탄력을 받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충청권 내 악성 미분양은 고금리 국면이 강화됐던 2023년 하반기부터 큰 폭으로 상승하기 시작했고 지난해 9월 1800건대를 넘어섰다.

이후 올 들어서는 2000건대를 돌파한 데 이어 지난 3월 2481세대로 2020년 8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상승세가 한풀 꺾이면서 4월부터 소폭 감소세를 보였고 지난 6월 기준 2372건으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대전 514세대, 세종 57세대, 충북 542세대, 충남 1259세대로 집계됐다.

정부 차원에선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대폭 확대됐던 악성 미분양과 관련해 매입 정책을 추진해온 바 있다.

지난 3월부터 비수도권 악성 미분양 3000호 매입을 목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매입을 추진해왔으며 이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매입 물량을 3000호에서 총 8000호로 확대하고 기존 감정평가액의 83% 수준이었던 매입 상한가 기준을 90%로 상향하기로 했다.

이는 공사비 상승세를 반영하고 공공임대로 활용 가치가 높은 우량주택 신청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며 내달 1일부터 매입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매입 가격은 매입 상한가 내에서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로 결정되며 상한가 대비 희망가가 낮은 주택부터 순차적으로 매입한다.

LH가 매입한 주택은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공급되며 시세 대비 90% 수준 전세로 6년간 거주(분양전환 미희망시 추가 2년)한 뒤 분양 전환받을 수 있다.

다만 해당 사업은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주거용 오피스텔이나 도시형 생활주택, 다가구·다세대 등은 신청할 수 없다.

업계에선 충청권 내 악성 미분양 상당 부분이 오피스텔과 도생형주택 등 비아파트인 만큼 해당 사업에 대한 아쉬움도 드러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LH의 별도 지역 사업을 통해 비아파트 LH 매입도 가능하지만 비수도권의 경우 조건이나 여건상 신청이 쉽지 않다”며 “도생형 주택 등은 대체로 중소건설사들이 추진하는데, 아파트를 건설하는 대형건설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느낌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